
유인촌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사진=문체부)
이어 “올해는 ‘국악진흥법’ 제정 이후 ‘국악의 날’이 시행되는 첫해로서 국악 발전의 전환점이 되는 중요한 시기”라며 “국악계의 힘을 결집하고 국악계 현장 의견을 지속적으로 담아내는 정책체계를 만들겠다”고 덧붙였다.
국악계는 최근 국립국악원 신임 원장 공모 과정에서 문체부 고위공무원이 응모한 사실이 알려지자 거세게 반발하고 있다. 그동안 국악계 인사를 임명했던 국립국악원 원장 자리를 지난해 12월 대통령령 개정을 통해 공무원도 지원 가능한 개방형 직제로 변경했기 때문이다.
문체부는 국립국악원장 직위를 경력개방형(공직 외부 대상)에서 개방형(공직 내부와 외부 대상) 직위로 바꾼 것과 관련해 “지난해 ‘국악진흥법’ 시행을 계기로 국립국악원의 역할을 강화하고 그 위상을 높이기 위해 국립국악원 내 고위공무원 직위의 개방성을 확대하는 단계적 개편을 진행해 왔다”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국악진흥법’에 따른 ‘제1차 국악진흥기본계획’ 수립 절차도 본격 착수했다. 문체부는 오는 17일 국악진흥기본계획 토론회를 시작으로 국악계의 여러 목소리를 듣고 정책에 반영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소통하는 자리를 마련해 나갈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