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극 ‘셰익스피어 인 러브’(사진=쇼노트).
‘셰익스피어 인 러브’(9월 14일까지 예술의전당 CJ토월극장)는 2023년 한국 초연 이후 2년 만에 다시 관객을 찾아왔다. 동명의 영화가 원작으로, 고전 ‘로미오와 줄리엣’이 셰익스피어의 사랑에서 비롯됐다는 상상에서 출발한다. 2014년 영국 작가 리 홀(Lee Hall)에 의해 무대화돼 런던 웨스트엔드에서 첫선을 보인 뒤 미국, 캐나다, 일본 등 세계 무대에 올랐다.
작품의 배경은 셰익스피어가 생존했던 16세기 런던이다. 슬럼프에 빠진 젊은 셰익스피어가 귀족 여성 비올라 드 레셉스를 만나 다시 글을 쓰기 시작하면서 이야기가 펼쳐진다. 두 사람의 만남은 신분과 자유, 창작과 현실의 경계를 넘나들며 웃음과 감동을 선사한다.
옹성우는 이번 공연에서 윌 셰익스피어 역을, 김향기는 비올라 역을 맡았다. 두 사람은 남다른 인연이 있다. 6년 전 옹성우의 첫 드라마 ‘열여덟의 순간’에서도 호흡을 맞췄던 적이 있기 때문이다. 드라마에 이어 연극 데뷔작도 함께하게 됐다.
최근 열린 간담회에서 옹성우는 “드라마를 할 당시에도 향기에게 많이 배웠는데 연극에서 다시 만나 더 없이 반갑다”고 소감을 전했다. 이어 “작품에 참여함에 있어 가장 두려웠던 요소는 내가 사용하지 않았던, 접해보지 않았던 ‘말’이었다”며 “다행히 연습을 하다보니 윌의 감정을 이해하면서 인물과 가까워졌고, 두려움이 자연스럽게 사라졌다”고 말했다.
김향기 역시 ‘연습만이 살 길’이라는 각오로 열심히 무대를 준비했다고 전했다. 김향기는 “처음으로 연극을 하게 됐는데 좋은 선배님들과 좋은 작품을 할 수 있게 돼 영광으로 생각한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윌이 쓴 편지를 낭독하고 읽는 장면이 많은데, 개인적으로 관객 분들께 한국말로 셰익스피어의 이야기 전할 수 있다는 것 자체가 큰 매리트라 생각한다. 관객들도 위대한 시어나 말에 대한 부담보다 그 안에 담긴 진정성을 온전히 즐겨 주셨으면 좋겠다”고 전했다.
두 사람 외에도 배우 이규형, 손우현, 이상이, 이주영, 박주현 등이 함께한다. 송한샘 프로듀서는 “고전의 힘과 현대극으로서의 문법이 공존하는 공연”이라며 “셰익스피어가 ‘우리 모두는 인생이라는 무대를 걸어가는 배우와 같다’고 말한 것처럼, 자신의 인생에서 주인공이라는 것을 느끼는 것이 이 작품의 가장 큰 장점”이라고 소개했다.

연극 ‘사의 찬미’의 한 장면(사진=뉴시스).
전소민과 윤시윤은 연극 ‘사의 찬미’(8월 17일까지 LG아트센터 서울)를 통해 함께 무대 신고식을 치뤘다. ‘사의 찬미’는 1920년 격동의 시대를 살아간 젊은이들의 사랑과 자유, 예술에 대한 열망을 그린 작품이다. 윤대성 작가의 동명 희곡을 기반으로, 나혜석 등의 인물을 더해 오늘날의 시선으로 재창작했다.
전소민은 당대를 흔든 비운의 소프라노 윤심덕 역을, 윤시윤은 이상과 현실 사이에서 고뇌하는 극작가 김우진 역을 맡아 열연을 펼친다. 최근 열린 간담회에서 전소민은 “언젠가 꼭 무대에 서고 싶다는 소망이 있었다”며 “두려움도 있었지만 윤심덕 역을 놓칠 수 없단 생각에 용기를 냈다”고 출연계기를 밝혔다. 이어 “당당하고 솔직한 모습 속에 숨겨진 나약함까지 보여주고 싶다”며 “나만의 방식으로 차별화를 둔 ‘윤심덕’을 반겨주었으면 좋겠다”고 전했다.
윤시윤은 “그저 위대한 사랑 이야기로만 가면 안 된다고 생각했다”며“ 심덕과 우진은 끊임없이 ‘이것이 사랑일까’ 혹은 ‘사랑으로 정의 내려야 하나’라는 마음에 혼란스러워하는데 이런 부분을 잘 표현하려고 노력했다”고 말했다.
배우 서예화, 이충주, 박윤희, 김태향 등이 함께 연기하며 무대를 풍성하게 채운다. 이연우 연출은 “무겁고 다루기 힘든 이야기를 관객들에게 편하게 전달하기 위해 노력했다”고 연출 의도를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