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유산으로 지방소멸 극복…국가유산청, '대응전략' 수립

생활/문화

이데일리,

2025년 8월 21일, 오후 01:33

[이데일리 장병호 기자] 국가유산청은 지방소멸 위기 극복을 위해 국가유산을 활용하는 방안을 담은 ‘지방소멸 위기 국가유산 대응전략’을 수립했다고 21일 밝혔다.

‘지방소멸 위기 국가유산 대응전략’ 카드뉴스. (사진=국가유산청)
‘지방소멸 위기 국가유산 대응전략’은 수도권 인구 쏠림으로 지방 인구가 감소하고 그에 따른 소비 감소, 정주여건 악화 등 범정부 차원의 대응이 시급해짐에 따라 국가유산(문화·자연·무형유산)을 활용한 관광·체험 프로그램과 도시 재생 사업 등으로 지역의 생활인구 유입을 촉진하고 지역 경제 활성화와 주민 상생에 기여하고자 마련됐다.

이번 전략은 ‘국가유산으로 살아나는 지역’을 비전으로 3대 추진전략, 7대 핵심과제, 52개 세부과제로 구성된다. 국가유산관리 중앙 지휘본부(컨트롤 타워)를 구축해 국가유산의 행정적·재정적 관리 기반을 상시 관리하고, 디지털 기반의 관리체계를 통한 보존 방안을 제시하는 등 △국가유산을 통한 지방소멸 완화 정책 △지방소멸이 국가유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적응 정책이 포함된다.

첫 번째 추진전략은 ‘국가유산을 토대로 지역 발전의 새로운 가치 창출’이다. 국가유산을 활용한 야간 특화 프로그램과 휴가지 원격 근무(워케이션) 등 지역 생활인구 유입을 이끌어낼 수 있는 체류형 콘텐츠를 확산한다. 무형유산을 기반으로 한 지역특산품과 관광·산업 연계 모델을 개발·확산하고, 국가유산 보존과 주민의 삶이 조화를 이루도록 규제를 합리적으로 개선한다.

두 번째 추진전략은 ‘지방소멸 시대, 지역과 주민이 함께 지켜가는 국가유산’이다. 지방자치단체의 국가유산 관리역량 제고를 위한 전문 인력을 배치하고 관련 교육을 강화한다. 국가유산 전문 인력 배치 시 관련 공모사업과 국고보조금 지원 등에 있어 보상책(인센티브)을 부여하고, 우수 인력에 대한 포상을 실시한다. 민관 협력형 ‘국가유산 마을기업’ 모델 육성, 향토유산·비지정유산까지 포함한 포괄적 보호 및 활용 기반 구축도 함께 추진한다.

세 번째 추진전략은 ‘촘촘한 국가유산 보존·관리 체계 구축’이다. 국가유산관리 중앙 지휘본부를 구축해 지역 국가유산의 통합 관리를 위한 법적·제도적 체계를 마련한다. 국가유산 관리 인력 부족 문제를 해소하고 현장의 관리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인공지능(AI) 등을 활용한 보존·관리 체계를 확립한다. 무인관리시스템, 기후변화에 대응한 국가유산 피해 감지 기술 등 디지털 전환을 통한 국가유산 보존관리 혁신도 추진한다.

국가유산청 관계자는 “앞으로 국민이 가꿔온 국가유산이 지역 경제를 활성화하는 핵심 자산의 역할을 하고, 이를 바탕으로 국가유산의 보존과 활용의 선순환 구조가 자리 잡을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며 “행정안전부, 지방시대위원회, 지방자치단체 등 관계기관과 협력해지방소멸 위기 극복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지방소멸 위기 국가유산 대응전략’은 국가유산청 홈페이지에서 국민 누구나 열람할 수 있다.

추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