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단에 따르면 지난 28일 광화문 교보빌딩 대산홀에서 ‘2025 대산창작기금 및 한국문학 번역·연구·출판지원’ 증서수여식을 열었다. 대산창작기금과 한국문학 번역·연구·출판지원은 재단의 핵심사업으로 재단 창립 후 1993년부터 꾸준히 시행해왔다.

대산창작기금 부문별 수혜자(앞줄) 및 심사위원(뒷줄), 신창재 이사장(뒷줄 맨오른쪽)이 증서수여식을 마치고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사진=대산문화재단).
올해 공모에는 총 852건이 접수됐고 이중 9건이 수혜작으로 꼽혔다. 재단은 부문별 수혜자에게 각 1000만 원 및 증서를 수여한다. 지금까지 누적 337명의 대산창작기금 수혜자를 배출했으며, 298권의 도서를 출간했다.
한국문학 번역·연구·출판지원은 한국 문학을 세계에 소개하기 위해 외국어 번역 및 연구, 출판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이다. 매해 다양한 한국문학을 다양한 언어로 소개, 보급하면서 우리 문학을 세계 문학으로 자리잡게 하는 중요한 발판을 마련하고 있다.
올해에는 총 120건이 접수됐으며, 이 중 15건의 지원대상작에 약 2억원을 지원한다. 시행 이후 지금까지 668건을 지원했고, 408종의 도서를 해외에 소개했다.
신창재 대산문화재단 이사장은 “한국문학에 대한 세계인의 관심은 좋은 작품과 우수한 번역이 만났을 때 세계의 독자들 역시 감응할 것이라는 재단의 오랜 가치를 확신으로 바꿔줬다“며 ”가장 소중한 문학적 경험을 전하는 문화재단이라는 비전과 함께 우리 문학의 발전을 위한 노력을 계속하겠다”고 밝혔다.
증서수여식에는 창작기금 수혜자 △시 부문 김석영·지관순 △소설 부문 임선우·임지지 △희곡 부문 이세희 △평론 부문 이희우 △아동문학 박소이·윤슬빛 등이 참가했다. 번역 및 연구출판지원 수혜자 △영어권 배솔이·정은귀·페이지 모리스 △불어권 김시몽 △독일어권 윤상아 △스페인어권 알바로 트리고 말도나도·파올라 디에스 시돈차·한서아 △일본어권 마키노 미카·박경희 △이탈리아어권 마우리치오 리오토 등이 참석했다.
대산창작기금과 한국문학 번역·연구·출판지원의 각 부문별, 어권별 심사위원도 함께 참석해 올해 선정 대상자들을 축하했다. 식을 마친 후에는 다과회를 통해 소감을 공유하는 등 네트워킹의 시간을 가졌다.
한편 올해 선정된 대산창작기금의 지원대상작은 1년 이내에 단행본으로 출간될 예정이다. 한국문학 번역·연구·출판지원의 지원대상작은 1년 이내에 번역을 마친 뒤 해당 국가에서 해외 독자들과 만난다.

한국문학 번역·연구·출판지원 기념촬영. 부문별 수혜자(앞줄) 및 심사위원(뒷줄), 신창재 이사장(뒷줄 맨오른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