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국악원 무용단 '춘향단전'(국립국악원 제공)
춘향과 몽룡의 사랑 뒤에 가려졌던 '향단'이 이번엔 이야기의 중심에 선다.
국립국악원 무용단은 고전 ''춘향전'을 향단의 시선으로 새롭게 풀어낸 무용극 '춘향단전'을 오는 11월 14일부터 16일까지 서울 서초구 국립국악원 예악당 무대에 올린다.
'춘향단전'은 춘향과 몽룡의 사랑을 지켜보던 '향단'을 주인공으로 내세운 작품이다. 주변 인물로 머물던 향단은 이번 무대에서 사랑과 질투, 욕망 사이에서 흔들리는 입체적 인물로 재탄생한다.
작품은 몽룡의 오해로 춘향 대신 입맞춤을 받게 된 향단이 이루어질 수 없는 사랑에 집착하며 광기로 무너져가는 과정을 그린다. 춘향을 향한 몽룡의 일편단심, 학도의 집착, 향단의 왜곡된 사랑이 얽히며 극적 긴장감을 극대화한다.
이번 공연은 2019년 무용극 '처용' 이후 6년 만에 국립국악원 무용단이 선보이는 무용극으로, 연출과 안무는 김충한 예술감독이 맡았다. 김 감독은 한국적 소재를 기반으로 고전의 가치를 재해석해 온 안무가다.
'춘향' 역에 백미진·이하경, '향단' 역에 이윤정·이도경, '몽룡' 역에 김서량·윤종현, '학도' 역에 박상주·정현도가 출연한다. 이외에도 '월매' 역의 김혜자, '방자' 역의 김태훈, '이방' 역의 전수현 등이 무대에 오른다.
강강술래를 모티프로 한 군무는 춘향, 향단, 몽룡, 학도의 사랑 감정을 응축해 표현하며, 작품의 정서를 압축하는 장면이다. 또한 신관사또의 부임식, 춘향과 몽룡의 첫날밤, 생일 잔치 등 다채로운 장면 속에서 한삼춤, 도열춤(북춤), 검무, 기생춤 등 전통춤의 미학이 펼쳐진다.
김충한 예술감독은 "고전문학 중에서도 '춘향전'은 가장 대중적이면서도 예술성이 뛰어난 작품으로, 시대와 환경에 따라 인물의 성격과 관계가 달라질 수 있는 열린 서사를 지니고 있다"라며 "이번 공연에서는 춘향을 비롯한 네 인물의 사랑을 춤으로 풀어내 관객과 새롭게 소통할 것"이라고 전했다.
'춘향단전' 공연 포스터(국립국악원 제공)
jsy@news1.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