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관문화훈장` 황석영·`젊은예술가상` 박천휴·김준수·최호종

생활/문화

이데일리,

2025년 11월 07일, 오전 11:04

[이데일리 김미경 기자] 작가 황석영이 해외에 한국문학을 알린 1세대 작가로서 한국문학 위상을 높인 공적을 인정받아 ‘금관 문화훈장’을 받는다. 문화훈장은 정부포상의 최고 훈격으로서 문화예술 발전과 국민 문화 향상에 기여한 사람에게 수여하는 훈장이다. ‘금관’은 그중 최고 등급이다.

문화체육관광부는 7일 오후 2시 서울 서대문구 모두예술극장에서 ‘2025년 문화예술발전 유공 시상식’을 열고 이들을 포함해 총 33명을 포상한다고 밝혔다.

금관 문화훈장을 받는 작가 황석영(사진=문체부).
김영수 문체부 제1차관은 시상식을 찾아 유공자에게 문화훈장 등을 전수하고 축하 인사를 전한다. △문화훈장 17명 △대한민국 문화예술상(대통령 표창) 5명 △오늘의 젊은 예술가상(문체부 장관 표창) 8명 △예술가의 장한 어버이상(문체부 장관 감사패) 3명 등 33명이다.

문체부는 ‘문화의 날’(10월 셋째주 토요일)을 계기로 대한민국 문화예술발전에 기여한 문화예술인들에게 감사를 표하고 1969년부터 ‘대한민국 문화예술상’을 시상했다. 1973년에 ‘문화훈장’을 포함해 훈격을 높여 매해 문화예술발전 유공자를 포상해 오고 있다.

올해는 전년보다 문화훈장 수훈 대상자 2명 늘려 17명에게 훈장을 전수한다. 금관을 수훈받는 황석영 작가는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소설가로서 반세기 이상 한국 현대사의 흐름을 깊이 있는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성찰해왔다. 특히 ‘장길산’, ‘바리데기’, ‘삼포 가는 길’ 등의 작품을 통해 한국문학의 사회적 역할을 환기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은관은 △50년간 프랑스 대표 문학 작품을 번역해 한국문학 발전과 한불 문화교류에 기여한 김화영 고려대학교 명예교수 △50여 년간 한국 연극의 독자적 미학을 정립하고 연극발전에 기여한 한태숙 연극연출가 △한국미술 발전에 기여한 유희영 대한민국예술원 회원 △40여 년간 우수한 건축 유산을 창출하고 한국 건축발전에 기여한 조성룡 건축사사무소 대표 등 4명이 받는다.

보관은 △권영민 서울대학교 명예교수 △나인용 대한민국예술원 회원 △양성원 연세대학교 관현학과 교수 △이강소 작가 △정영선 조경설계서안(주) 대표 등 5명이다.

옥관은 △김형배 만화가 △최경만 서울특별시 무형유산 삼현육각 보유자 △김아라 연극연출가 △신상호 작가 등 4명이, 화관은 △최신규 초이크리에이티브랩 대표 △윤석구 (사)한국동요사랑협회 고문 △허영일 한국예술종합학교 명예교수 등 3명이 받는다.

대한민국 문화예술상은 △재단법인 종이문화재단(문화일반) △은희경 소설가(문학) △최우정 서울대학교 작곡과 교수(음악) △임도완 극단 사다리움직임연구소 소장(연극) △고(故) 박영숙 사진작가(미술) 등 5명에게 수여한다.

오늘의 젊은 예술가상에는 △토니상 6관왕을 차지한 뮤지컬 ‘어쩌면 해피엔딩’의 작가 박천휴를 비롯해 △국악인 김준수 △무용수 최호종 △소설가 성해나 △작곡가 이하느리 등 총 8명에게 돌아갔다. 문체부 장관 표창과 함께 상금 각 500만 원을 수여한다.

예술가의 장한 어버이상은 △가수 송가인과 아쟁연주자 조성재의 어머니 송순단씨 △드럼 연주자 이태양의 어머니 김혜영씨 △현대미술작가(예명 픽셀김) 김현우의 어머니 김성원 씨 등 3명이다. 이들에게는 문체부 장관 명의 감사패와 함께 각 400만 원 상당의 부상을 수여한다.

김영수 차관은 “한국문화의 근간인 문학과 음악, 공연, 미술 등 문화예술에 집중 투자하고, 예술인들이 안심하고 창작에 전념할 수 있는 자유로운 창작 환경 조성과 미래세대들의 성장 지원 등 한국문화예술의 지속 발전을 제도와 정책적으로 뒷받침해 ‘문화강국 대한민국’이라는 꿈을 실현하겠다”고 말했다.

추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