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HN 김수안 인턴기자) 부산시가 전쟁 유적지로써 세계적인 가치를 인정받았다.
14일, 부산시는 지난 13일 열린 국가유산청문화유산위원회 세계유산분과 회의에서 '한국전쟁기 피한수도 부산의 유산'이 유네스코 '세계유산 우선등재목록'에 최종 선정됐다고 14일 밝혔다. 이는 2023년 5월 국내 최초의 근대유산으로서 유네스코 세계유산 잠정목록에 등재된 지 약 3년 만의 성과이다.
'우선등재목록'은 잠정목록에 오른 유산 중 '탁월한 보편적 가치'와 체계적인 보존, 관리 계획을 인정받은 유산으로, 향후 유네스코에 등재신청서를 제출하기 위한 예비평가를 신청할 자격을 갖추게 된다. 현재 국내 잠정목록 유산 14건 중 우선등재목록에 오른 것은 '양주회암사지유적'과 이번 '피란수도 부산 유산' 단 2건 뿐이다.
이번 선정은 지난해 한 차례 보류됐던 아픔을 딛고 이뤄낸 성과라 더욱 의미가 크게 다가온다. 부산시는 지난해 '구성유산 간의 연계성 보완' 등의 이유로 보류 결정을 받은 뒤, 1년간 전문가 연구와 협력을 통해 유산의 서사를 전면 보강했다. 특히 기존 9개였던 구성유산을 11개로 확대·재정비하여 피란수도라는 역사적 서사를 완성했다.
새롭게 추가된 유산은 '영도다리(영도대교)'와 '복병산배수지'이다. 영도다리는 피란민들의 만남의 장소이자 물자 이동의 핵심 통로였으며, 복병산배수지는 급증한 피란민의 생존에 필수적인 식수를 공급했던 도시 기반 시설이다. 이 두 유산이 추가되면서 전쟁기 부산의 도시 구조와 피란민의 삶이 더욱 입체적으로 연결되었다.
이로써 '피란수도 부산 유산'은 총 11개의 연속유산으로 구성된다. 경무대(임시수도대통령관저), 임시중앙청(현 동아대 석당박물관) 등 국가 기능을 유지했던 공간, 아미동 비석 피란주거지, 우암동 소막 피란주거지 등 피란민의 처절한 삶이 깃든 생활 유산, 유엔묘지, 미국대사관 겸 미국공보원, 하야리아기지(현 부산시민공원) 등 국제사회의 연대를 상징하는 장소까지 폭넓게 포괄한다.
시는 이번 선정을 계기로 국제기념물유적협의회(ICOMOS)의 예비평가 등 후속 절차에 본격 돌입할 예정이다. 특히 2026년 7월, 부산에서 제48차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가 개최될 예정이어서, '피란수도 부산 유산'의 가치를 전 세계에 알릴 절호의 기회가 될 전망이다.
박형준 부산시장은 "피란수도 부산 유산의 세계유산 등재 추진은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피란민을 품어 대한민국을 지탱한 부산을 널리 알릴 좋은 기회"라며 "부산이 가진 평화와 연대의 정신을 세계무대에 우뚝 세우고, 국가유산청과 긴밀히 협력해 세계유산 등재를 반드시 완성하겠다"고 강조했다.
사진=피란수도부산유산 홈페이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