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대 한국어 사전 원고(조선말 큰사전 원고)(국가유산청 제공)
근대 한국어 기록물과 여성 한글 문학이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에 도전한다.
국가유산청은 지난 21일 '근대 한국어 사전 원고'와 '내방가사'의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국제목록 등재신청서를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사무국에 제출했다고 24일 밝혔다.
'근대 한국어 사전 원고'와 '내방가사'는 지난 9월 19일 세계기록유산 한국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국제목록 등재신청 대상으로 각각 선정됐다. 최종 등재 여부는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국제자문위원회(IAC)의 심사 등을 거쳐 2027년 상반기 프랑스에서 열리는 유네스코 집행이사회에서 결정될 예정이다.
'근대 한국어 사전 원고'는 '말모이'(1911-1914) 1책과 '조선말 큰사전'의 원고(1929-1957) 18책을 아우르는 기록물이다. 이 기록물은 모국어를 보존하고 민족 정체성을 확립하려는 모국어 운동의 산물로서, 한자 중심에서 한글 중심으로의 언어생활 변화와 문맹 퇴치, 교육 기회 확대에 기여했다는 점에서 중요성을 지닌다.
내방가사(국가유산청 제공)
'내방가사'는 '여성의 공간에서 부르는 노래'라는 뜻으로, 여성들의 모임에서 필사되며 전승된 여성 고유의 한글 문학이다. 이번 등재 신청 기록물에는 1794년에서 1960년대 말까지 여러 세대의 여성들이 창작하고 향유한 가사 567점이 포함됐는데, 다양한 계층의 여성이 문학 공동체를 형성하고, 자발적으로 창작과 전승의 주체로 활약했음을 입증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국가유산청은 "앞으로도 우리의 기록유산을 발굴하고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를 확대해 나가는 적극 행정을 실천해 우리나라의 우수한 기록문화를 국내외에 널리 알릴 계획"이라고 전했다.
jsy@news1.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