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백 년 이어온 바다의 시간표…'물때지식', 국가무형유산 된다

생활/문화

뉴스1,

2025년 11월 28일, 오전 09:52

조선시대 물때 기록의 기준인 김포 조강 일대(국가유산청 제공)

수백 년간 어민 생활을 지탱해 온 '물때지식'이 국가무형유산이 된다.

국가유산청은 '물때지식'을 국가무형유산 신규 종목으로 지정 예고한다고 28일 밝혔다.

'물때지식'은 밀물과 썰물로 발생하는 바닷물의 주기적 변화를 인식하는 전통 지식체계다. 태양과 달의 인력에 따라 발생하는 조수간만의 차를 역법화한 것이 대표적이다. 자연환경을 관찰하며 축적한 경험적 지식에 지구와 달의 관계를 해석한 천문 지식이 결합한 것으로, 어업 활동뿐 아니라 염전·간척·노두 이용·뱃고사 등 해안 지역의 일상생활에 필수적인 지식으로 자리 잡고 있다.

하루 단위의 밀물과 썰물에 대한 내용은 '고려사'에 등장하고, 보름 주기의 물때 명칭은 '태종실록'에 기록돼 있어, 조선시대 이전부터 15일 주기의 물때 순환체계가 인식·활용됐음을 보여준다. 조선 후기에는 강경포구의 조석 현상을 바위에 새겨 기록하거나, 실학자인 신경준이 '조석일삭진퇴성쇠지도'를 제작해 조강과 제주, 중국 절강과 오월의 조석 시간을 비교하는 등 지역별 독자적인 물때 체계에 대한 탐구도 이어졌다.

조선시대 조강지역 물때를 기록한 신경준의 조석일삭진퇴성쇠지도(국가유산청 제공)

물때지식은 조수간만의 차가 큰 서해안과 남해안 주민들의 필수 생활지식이자, 어촌의 생업을 비롯한 해양 문화 연구의 기초지식이 되는 점에서 학술연구 자료로서 가치가 크다.

국가유산청 관계자는 "조선시대 이전부터 물때에 대한 명칭이 기록되어 현재까지 이어져 오고 있고, 해양 문화·민속학·언어학 등 다양한 분야의 연구에 기여하고 있으며, 과거뿐 아니라 현재에도 물때달력이나 스마트폰 앱 등을 통하여 다수에게 활용되고 있다는 점 등에서 국가무형유산으로 지정해 보전할 가치가 충분하다"고 설명했다.

국가유산청은 앞으로 30일 동안 지정 예고 기간을 두고 각계 의견을 수렴한다. 아울러 국민신문고 누리집 '국민생각함'에서 '물때지식' 명칭에 대한 대국민 설문조사를 진행한 뒤, 무형유산위원회 심의를 거쳐 국가무형유산 지정 여부를 최종적으로 결정할 예정이다.

jsy@news1.kr

추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