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권은 해외 시장에 영업점을 개설하는 데 애로사항을 전달하면서 '금융 외교'의 중요성도 피력한 것으로 파악됐다. 당초 은행권이 우려했던 '가산금리 인하' 등 민주당 측의 요구는 나오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은행 압박·대권행보' 비판에 李 "오늘은 듣는 자리"
20일 더불어민주당은 서울 중구 은행연합회에서 조 회장 및 6대(농협·신한·우리·하나·국민·기업) 은행장과 함께 현장 간담회를 개최했다. 민주당에서는 이 대표와 강준현 국회 정무위 야당 간사를 비롯한 민주당 소속 정무위원들이 참석했다.
조 회장은 간담회 시작 후 모두 발언에서 '경제 방파제' 역할을 성실히 수행하겠다고 강조했다. 조 회장은 "의원님들이 은행회관에 와주신 이유는 우리 경제가 중요한 변곡점에 서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며 "자영업자·소상공인의 이자 부담을 덜기 위해 더 다양하고 지속가능한 방안을 시행하겠다"고 밝혔다.
특히 조 회장은 고물가·고환율 복합 위기를 극복하려면 금융 뿐만 아니라 '비금융 지원'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며, 은행들이 소상공인을 위해 저렴한 '키오스크'(무인 결제 단말기) 설치를 지원하는 방안을 검토하겠다고도 했다.
다만 이 대표는 모두 발언에서 "은행에 뭘 강요해서 얻으려는 자리가 아니다"고 선을 그었다. 야당 대표가 은행장을 소집한 것을 두고 '은행권 압박', '대권 행보'라는 비판이 일자 "금융기관들이 필요한 게 어떤 건지 들어보고 정치권이 어떤 걸 지원할 수 있는지 들으려는 자리"라고 못 박은 것이다.
은행권 "글로벌 진출 도와달라" 요청…'금리 인하' 논의 없었다
정치권에 따르면 당초 민주당은 은행들이 '역대급 호실적' 기록하는 상황을 언급하며 가산 금리 인하를 요청할 계획이었다. 또 은행들이 가산금리 세부 항목을 공시하는 내용의 '은행법 개정안' 협조도 당부하려 했다.
다만 이 대표가 이날 간담회를 '듣는 자리'라고 못 박으면서 비공개로 이어진 간담회에서도 금리 관련 논의는 나오지 않았다. 조승래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간담회 종료 후 기자들과 만나 "금융사들의 국제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규제 개선 논의를 했다"고 설명했다.
조 회장은 "금융사들이 해외 진출을 하기 위해선 디지털 기술과의 결합이 중요하다"면서'규제 개선'을 제안한 것으로 파악됐다. 또 금융사들이 해외에서 쉽게 영업점을 개설할 수 없는 제도적 애로사항을 언급하며 '금융 외교'도 요청한 것으로 전해졌다.
또 IBK기업은행은 소상공인·자영업자 대출 확대를 위해, 이들의 거래 데이터를 쉽게 확보할 수 있는 제도 개선을 검토해달라고 요청하기도 했다.
조 의원은 '가산금리 인하 또는 횡재세 논의가 있었냐"는 질의에 "전혀 없었다"며 "정무위원들과 은행연합회의 소통 채널을 만들어 금융사의 글로벌 진출을 위한 논의를 이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ukgeun@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