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대행 “美관세 ‘자동차산업’, 다음주 긴급 지원대책 발표”

경제

이데일리,

2025년 4월 03일, 오후 04:31

[세종=이데일리 김미영 기자]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는 3일 “오늘부터 (미국)관세가 적용되는 자동차 산업에 대해서는 다음 주까지 긴급 지원대책을 발표하겠다”고 밝혔다.

한 대행은 이날 미국 정부의 상호관세 부과 조치에 경제안보전략TF 회의를 오전·오후에 걸쳐 잇달아 주재하고 대응 방향을 논의하며 이같이 말했다. 미국 정부는 2일(현지시간) 한국에서 생산해 미국으로 수입되는 제품에 26%의 상호관세를 부과한다고 발표했다.

한 대행은 “이번 미국의 관세조치는 국제 자유무역 질서와 글로벌 공급망 구조 자체를 바꿔 세계 경제질서를 재편하는 변곡점으로 작용해 수출 주도의 우리 경제에 큰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이어 “이러한 위기 상황에서 정부는 우리 기업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대미 협상에 총력을 다하겠다”며 “즉시 통상교섭본부장의 방미를 추진하는 등 각급에서 긴밀한 대미 협의를 추진하는 한편, 한미 동맹과 경제통상 협력관계를 바탕으로 상호 호혜적인 해결방안을 중점 모색하겠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경제안보전략 TF, 업종별 릴레이 간담회 등 민관 소통을 통해 정부와 민간이 원팀으로 ‘조율된 노력’을 지속해 나가겠다”고 했다.
한 대행은 “긴밀한 대미협상과 더불어 향후 재편될 통상 질서에 맞춰 우리 산업·경제 구조를 전환하는 것도 중요한 과제가 됐다”면서 “단기적으로는 대미 수출 감소, 장기적으로는 국내 산업 공동화, 산업 생태계 훼손 등이 우려되는 만큼 정부는 조속히 대응방안을 마련하겠다”고 약속했다.

정부는 자동차산업에 대한 긴급 지원대책을 다음주에 발표하고, 관계부처 합동으로 중소·중견기업 등 취약 부문과 업종에 대한 지원대책도 신속히 준비할 계획이다. 한 대행은 “아울러 미국의 관세 조치 대응을 계기로 우리 산업의 체질을 근본적으로 개선하고 불합리한 제도와 관행도 합리화하겠다”고 역설했다.

통상위기 현실화에 정치권의 협조도 구했다. 한 대행은 “관세 조치, 내수 부진 등 안팎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우리 기업의 고통을 덜어주기 위해서는 정치권의 협조가 절실하다”며 “통상위기 극복을 위해 국익의 관점에서 초당적인 협력을 부탁드린다”고 덧붙였다.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사진=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