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대행은 이날 미국 정부의 상호관세 부과 조치에 경제안보전략TF 회의를 오전·오후에 걸쳐 잇달아 주재하고 대응 방향을 논의하며 이같이 말했다. 미국 정부는 2일(현지시간) 한국에서 생산해 미국으로 수입되는 제품에 26%의 상호관세를 부과한다고 발표했다.
한 대행은 “이번 미국의 관세조치는 국제 자유무역 질서와 글로벌 공급망 구조 자체를 바꿔 세계 경제질서를 재편하는 변곡점으로 작용해 수출 주도의 우리 경제에 큰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이어 “이러한 위기 상황에서 정부는 우리 기업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대미 협상에 총력을 다하겠다”며 “즉시 통상교섭본부장의 방미를 추진하는 등 각급에서 긴밀한 대미 협의를 추진하는 한편, 한미 동맹과 경제통상 협력관계를 바탕으로 상호 호혜적인 해결방안을 중점 모색하겠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경제안보전략 TF, 업종별 릴레이 간담회 등 민관 소통을 통해 정부와 민간이 원팀으로 ‘조율된 노력’을 지속해 나가겠다”고 했다.
정부는 자동차산업에 대한 긴급 지원대책을 다음주에 발표하고, 관계부처 합동으로 중소·중견기업 등 취약 부문과 업종에 대한 지원대책도 신속히 준비할 계획이다. 한 대행은 “아울러 미국의 관세 조치 대응을 계기로 우리 산업의 체질을 근본적으로 개선하고 불합리한 제도와 관행도 합리화하겠다”고 역설했다.
통상위기 현실화에 정치권의 협조도 구했다. 한 대행은 “관세 조치, 내수 부진 등 안팎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우리 기업의 고통을 덜어주기 위해서는 정치권의 협조가 절실하다”며 “통상위기 극복을 위해 국익의 관점에서 초당적인 협력을 부탁드린다”고 덧붙였다.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사진=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