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3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민.관 연구기관장 간담회'를 주재하고 있다. (기획재정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2025.4.3/뉴스1
기재부에 따르면 최 부총리는 이날 한국개발연구원(KDI), 대외경제정책연구원 등 6개 민관 연구기관장과 간담회를 열고 미국 상호관세 부과가 우리 경제에 미치는 영향과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최 부총리는 2일(현지시간) 미국 정부가 국가별 상호관세 부과 조치를 발표함에 따라 통상 리스크가 현실화되는 엄중한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26% 상호관세에 대해 우리 경제·산업에 미치는 영향을 정교하게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피해 부문 지원 방안과 대미 협상 전략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언급했다.
연구기관장들은 미국 정부가 밝힌 무역적자만을 기준으로 한 상호관세 부과 방식에 대해서 적정성과 영향에 대해 논의했다.
아울러 단기적으로 경제·산업에 미치는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정부의 즉각적인 대응이 긴요하다고 강조했다. 특히 무역금융, 수출바우처 등 수출 지원에 중점을 두고, 정부가 최근 발표한 ‘필수 추경’이 골든타임을 놓치지 않도록 신속히 추진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연구기관장들은 이어 미국의 관세 충격 외에도 중국 추격 등 우리 산업을 둘러싼 도전요인에 대해 기술혁신 등 근본적인 산업경쟁력 강화가 필요하다고 했다. 또 통상 파고 돌파를 위해 민관의 협력이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고 언급했다.
최 부총리는 이같은 의견에 공감하며 "정부는 가용 수단을 총동원해 자동차 등 피해 예상 업종별 지원, 기회요인 포착을 위한 조선 RG 공급 확대 방안 등을 준비하고 있으며, 다음 주부터 순차적으로 발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어 "불확실성이 높은 현 상황에서 시장에 과도한 불안감이 발생하지 않도록, 정확한 분석을 기반으로 하여 민관이 원팀으로 대응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통상환경 변화 속 기회요인을 포착할 수 있는 전략 마련에도 연구기관들이 대응방안을 적극 제시해달라"고 당부했다.
min785@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