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보사, 작년 수익 늘었지만 지급여력비율 26%p↓…"건전성 관리 필요"

경제

뉴스1,

2025년 5월 11일, 오후 03:47

지난해 국내 생보사들의 수익성은 개선됐지만, 건전성을 나타내는 지급여력비율(K-ICS 비율)은 오히려 악화 것으로 확인됐다.

보험연구원은 11일 발간한 '2024년 생명보험산업 주요 현황 및 이슈' 보고서에서 r국내 생명보험사들의 K-ICS 비율이 183%를 기록해 전년 말 대비 26%포인트(p) 하락했다고 밝혔다.

연구원은 K-ICS 비율 하락의 배경으로 보험부채 할인율 인하, 해외 금리 상승, 계리적 가정 변경, 신계약 유입 등을 복합적인 원인으로 꼽았다.

생보사들은 건전성 지표 방어를 위해 2024년 유상증자 5515억 원을 포함해 총 4조 2950억 원 규모의 자본증권(평균 표면금리 4.84%)을 발행하는 등 외부 자본 확충에 나섰다. 그러나 부채 평가 할인율 하락이 예상되어 K-ICS 비율을 지속해서 방어하는 데는 어려움이 예상된다.

연구원은 "향후 건전성 관리, 노후소득 보장 기능 강화, 보험개혁회의 후속 조치 등이 주요 이슈로 부상할 것으로 예상된다"라며 "부채 평가 할인율 하락이 예상돼 K-ICS 비율 방어가 주요한 과제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더불어 보험업권의 자본 규제가 고도화되고 보험 판매 수수료 체계가 개편되는 등 제도 개선이 구체화 것으로 예상된다며 "제도 개선이 산업에 미치는 영향을 면밀히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한편, 생보사들의 수익성 지표는 개선됐다. 2024년 생보사 당기순이익은 5조 6000억 원으로 전년 대비 7% 증가했다. 특히 보험 손익은 감소했지만 이자·배당 수익 증가와 외환 관련 손익 반전 등으로 투자 손익이 3조 원에 달하며 전년 대비 81% 급증했다.

potgus@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