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연합뉴스)
작년 평가에선 한국은 67개국 중 종합 20위를 기록했다. 이는 전년도보다 8계단 상승한 것으로, 경제 회복세와 정책 대응 역량이 긍정적으로 반영된 결과로 분석된다. 구체적으로 기업 효율성은 23위, 기업 민첩성은 9위, 국민의 유연성·적응성은 14위였지만 정부 효율성은 39위로 그중에서도 재정은 38위, 기업 여건은 47위로 특히 뒤처졌다.
기획재정부는 20일 ‘2024년도 공공기관 경영평가 결과’를 내놓는다. 이번 평가는 전국 공기업과 준정부기관을 대상으로 재무성과와 지배구조 등 전반적인 경영 성과를 분석해 ‘탁월(S)’부터 ‘아주 미흡(E)’까지 총 6단계 등급으로 나눠 공개한다.
2023년 공공기관 경영평가는 공기업 32개, 준정부기관 55개, 감사평가 기관 59개를 대상으로 진행됐다. 평가 결과에 따르면 최고 등급인 탁월(S)은 없었다. 주택도시보증공사(HUG), 한국가스공사, 한국공항공사, 코레일 등 공기업이 D등급(미흡)을 받았다. 고용정보원과 코바코는 최하등급(E)을 받았다.
이에 고용노동부는 고용정보원장을 작년 8월, 임기 1년 9개월을 남기고 해임했다. 경영 평가 주무 부처인 기재부는 E등급을 받거나 2년 연속 D등급을 받은 기관 중 재임 기간이 6개월 이상인 기관장에 대해 해임을 건의할 수 있다.
통계청은 19일 ‘2024년 하반기 지역별 고용조사’(맞벌이 가구와 1인 가구 취업 현황)를 발표한다. 지난 2023년 하반기 맞벌이 가구는 611만 5000가구로 전년대비 26만 8000가구 증가했다. 맞벌이 가구 비중은 48.2%로 전년 대비 2.1%포인트 상승했다. 2015년 관련 통계집계 이래 최대치다. 1인 취업 가구는 467만 5000가구로 전년대비 12만 가구 늘었다.
다음은 기재부, 통계청, 한국개발연구원(KDI) 등 주간 주요 일정 및 보도 계획이다.
◇주간 주요 일정
△19일(목)
10:00 국무회의(1차관, 대통령실)
10:00 공공기관운영위원회(2차관, 비공개)
△20일(금)
09:30 차관회의(1차관, 서울청사)
◇주간 보도 계획
△17일(화)
07:00 2025년 IMD 국가경쟁력 평가 결과
10:00 2025년 경제통계 통합조사 실시
10:00 통계청, 여름방학 실용 통계교육 교사 연수
15:00 국가재무회계 전문성 강화를 위한 국가회계전문교육 실시
△18일(수)
12:00 통계청, SGIIS ‘청년통계지도’ 서비스 개시
△19일(목)
12:00 2024년 하반기 지역별고용조사 맞벌이 가구 및 1인 가구 취업 현황
16:00 신성장 4.0 민관협의체 간담회(미래형 모빌리티) 개최
17:00 2025년 6월 국고채 ‘모집방식 비경쟁인수’ 발행 여부 및 발행계획
△20일(금)
11:00 2024년도 공공기관 경영평가 결과 발표
12:00 2023년 기준 인구동태 코호트 DB 제공
12:00 통계청, OECD 통계정책위원회 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