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보장 약속은?…‘티몬 인수’ 오아시스, 희망퇴직 단행 논란

경제

이데일리,

2025년 6월 15일, 오후 09:52

[이데일리 나은경 기자] 기업회생 절차(법정관리)를 밟고 있는 온라인 쇼핑몰 티몬의 최종 인수예정자로 선정된 신선식품 전문 플랫폼 오아시스마켓이 직무 전환 및 희망퇴직에 나서 논란이 일고 있다.

희망퇴직을 신청해 이미 조직을 떠난 일부 직원은 오아시스가 티몬 인수 조건인 고용 보장 약속을 어기고 사실상의 인력 구조조정에 나선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이에 대해 오아시스측은 인위적인 인력 효율화는 없었다는 입장이다.

(사진=연합뉴스)


15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오아시스는 지난달 초 비영업직 직원 전원을 상품기획(MD) 직군으로 전환한다고 안내하는 한편 희망퇴직 신청 접수를 공지했다.

당시 오아시스 측은 직원들에게 희망퇴직 신청 여부 결정에 반나절의 시간을 준 것으로 알려져 논란에 불을 피웠다.

지난달 말 기준 티몬에 남은 140여명의 직원 중 50명 안팎이 희망퇴직으로 회사를 떠난 상태다. 상당수는 MD 직군 전환 공지를 받은 비영업직 직원으로 알려졌다.

퇴사한 직원들은 오아시스가 사실상 인력 감축을 하려는 것이라는 입장이다. 이들은 특히 오아시스가 고용 보장을 약속하고 법원으로부터 티몬 인수 권리를 확보한 지 한 달도 채 안 된 시점에서 희망퇴직 신청을 공지한 데 대해 배신감을 토로하고 있다.

반면 오아시스 측은 “플랫폼 정상 운영을 위한 가장 중요한 요소가 인적자원인데 티몬 직원 수가 애초 500여명에서 5분의 1 수준으로 줄었고 지금도 계속 퇴사자가 발생하고 있다”며 “이런 어수선한 분위기에선 정상화를 기약할 수 없다”고 말했다.

이어 “우리가 가려는 방향이 맞지 않다고 생각하거나 이직을 계획한 분들에겐 선택의 여지를 드리고 남기로 결정하신 분은 뜻을 모아 힘을 합치자는 뜻에서 희망퇴직을 단행한 것”이라고 덧붙였다.

희망퇴직 접수를 공지한 뒤 반나절의 시간을 준 데 대해선 “퇴직자 수를 되도록 줄이려는 취지였으며 이후 생각할 시간이 너무 짧다는 의견을 받아들여 기한 없이 신청받고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

앞서 오아시스는 지난 3월 티몬 인수를 위한 조건부 투자계약을 체결했고 4월에는 서울회생법원으로부터 최종 인수예정자로 선정됐다. 인수대금 116억원에 추가 운영자금 65억원 등 181억원을 투입하고 티몬 직원의 고용을 5년간 보장하는 조건이다.

티몬은 오는 20일 서울회생법원에서 관계인집회를 열고 지난달 법원에 제출한 회생계획안을 심의·결의할 예정이다. 관계인집회에는 회생담보권자, 회생채권자, 주주 등이 참석할 예정이다. 여기서 회생계획안이 가결되면 오아시스의 티몬 인수가 확정된다. 회생안이 가결되려면 채권 규모 기준으로 회생채권의 3분의 2, 회생담보권 4분의 3 이상을 가진 이해관계자가 동의해야 한다.

하지만 오아시스가 내놓을 인수대금 116억원 중 채권 변제에 사용될 금액은 102억원으로 전체 채권액(약 1조2000억원)의 0.8%에 불과해 규모가 큰 채권자들을 얼마나 설득해내느냐가 관건이 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