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일 기업분석업체 리더스인덱스가 50대 그룹 오너일가 주담대 현황을 조사한 결과, 절반인 25개 그룹에서 1명 이상이 담보 대출을 받은 것으로 파악됐다. 주담대에 이름을 올린 오너일가 수는 지난해 98명에서 올해 129명으로 늘었다. 이들이 실행한 대출 총액은 9조9204억원에 달한다.
대출금 증가액이 가장 큰 그룹은 삼성이다. 홍라희 리움미술관 명예관장, 이부진 호텔신라 사장, 이서현 삼성물산 사장 등 삼성가 세 모녀 명의로 실행된 주담대가 1년 전 2조9328억원에서 올해 5조1668억원으로 76.2% 늘었다. 담보 비중도 30.7%에서 55.5%로 상승했다. 이들 세 사람의 대출 총액은 전체 주담대의 절반이 넘는다. 이는 고(故) 이건희 선대회장 별세 이후 삼성가 세 모녀가 천문학적인 상속세를 납부해야 하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홍라희 명예관장은 지난해 1조7800억원에서 68% 늘어난 2조9900억원을 대출했다. 담보 비중(42.1%→79.1%)은 급등했다. 장녀 이부진 사장은 5800억원에서 1조1040억원으로 90.3% 늘었고, 차녀 이서현 사장은 5728억원에서 1조728억원으로 87.3% 증가했다. 세 모녀의 개인별 대출 금액은 나란히 1~3위를 기록했다.
영풍그룹은 대출 증가율 기준으로 가장 두드러졌다. 대출 받은 오너일가 수가 3명에서 18명으로 늘었고, 총 대출금은 195억원에서 4795억원으로 2359% 폭증했다. 이는 고려아연 경영권 분쟁 영향으로 풀이된다. 그 결과 담보 비중은 16.9%에서 85.2%까지 치솟았다.
담보 비율이 80%를 넘어서는 그룹은 6곳이나 됐다. 태영, 현대백화점, 코오롱, 롯데, 영풍, 금호석유화학 등이다. 이 중 태영그룹은 윤석민 회장과 부친 윤세영 창업회장이 보유 주식 전량을 공동 담보로 설정해 총 4000억원을 대출했다. 지분 100% 담보인 만큼 주가가 하락한다면 추가 담보 요구 혹은 상환 압박 가능성이 예상된다.

(출처=리더스인덱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