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감물가 부담 낮춘다며 외식업계는 할인대상서 왜 빠졌나

경제

이데일리,

2025년 7월 08일, 오후 04:14

[이데일리 노희준 기자] 정부가 체감 물가 부담을 낮추기 위해 식품 및 유통업계와 손잡고 최대 ‘반값’ 할인 행사에 나섰지만 외식업계와의 협업 내용이 보이지 않아 배경에 관심이 쏠린다. 소상공인 자영업자가 주로 외식업체 프랜차이즈 가맹 사업을 담당하고 있는 데다 가격 상승을 유발하는 큰 이유 중의 하나인 배달비 부담 완화가 더 시급하기 때문이란 해석이 나온다.

(사진=연합뉴스)
8일 정부에 따르면, 농림축산식품부는 당분간 외식업계와 간담회 등을 통한 외식물가 안정 대책을 내놓지 않을 예정이다. 농림부 관계자는 “지금으로서는 외식업계 대상 할인 행사 등의 계획은 갖고 있지 않다”고 말했다. 농림부는 전날 식품·유통업계와 간담회를 통해 물가안정을 위한 여름 휴가철 가공식품 할인행사 방안을 내놨다. 방안은 이재명 정부의 첫 고위당정협의회에서 발표된 물가 안정 대책의 일환인데, 외식물가 대책은 이번에 나오지 않았다.

현재 외식 물가 상승은 가공식품 물가 상승세 못지않다. 통계청의 6월 소비자물자동향을 보면, 가공식품 물가는 지난해 같은달보다 4.6% 올랐고, 외식 물가는 3.1% 올랐다. 외식물가 상승률이 가공식품보다 1.5%포인트(p) 낮지만,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2.2%)보다는 0.9%p 높다.

외식 물가 안정대책이 일단 나오지 않은 것은 외식을 담당하는 주체가 식품기업과 달리 프랜차이즈 가맹점주인 자영업자 소상공인이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할인 행사 등을 하게 되면 자영업자나 소상공인이 피해를 볼 수 있다는 얘기다. 실제 식품기업 사이에서도 이번 최대 50% 할인 행사를 두고 볼멘소리가 나오는 실정이다. 한 식품업계 관계자는 “할인을 하면 매출이야 조금 늘어날 수 있지만, 마진을 포기해야 하기 때문에 이익이 좋아지기는 쉽지 않다”고 했다.

프랜차이즈 가맹 점주가 포함된 자영업자 소상공인 경영여건은 갈수록 악화되고 있다. 국세청 국세통계포털을 보면, 지난해 폐업 신고를 한 사업자는 100만 8282명으로 나타나 전년보다 2만 1795명 증가했다. 1995년 통계 집계 이후 처음으로 100만명을 넘어섰다. 이와 함께 외식물가 상승의 한 요인이 높은 배달비 부담이기 때문에 이를 낮추는 논의가 선행돼야 한다는 판단도 있었을 것으로 풀이된다. 배달 비중이 70∼80%에 달하는 치킨의 경우 2만원짜리 닭 1마리를 팔면 배달앱 중개 수수료와 배달비로 나가는 돈이 6000원 수준이다.

외식업계 한 관계자는 “프랜차이즈 본사도 할인 행사를 감당할 여건이 안 되는 데다 할인 행사를 하게 되면 가맹점까지 결국 분담을 하게 될 텐데 자영업자 소상공인들이 그럴 상황이 안 된다”고 했다. 2023 산업부 프랜차이즈산업 실태조사를 보면, 가맹 본부 중 대기업 및 중견기업 비중은 2%에 불과하고 나머지 98%는 중소기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