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여한구(오른쪽)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은 7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D.C 상무부에서 하워드 러트닉(Howard Lutnick) 미국 상무부 장관과 면담을 진행했다. (사진=산업부)
이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한국을 비롯한 주요 무역 대상국에 부과하기로 한 상호관세의 발효 시점을 당초 예고한 7월 9일에서 8월 1일로 연기함했다. 이에 따라 앞으로 3주 남짓 시간 동안 한미 양국의 협상은 가속화할 것으로 전망된다.
여 본부장은 한국이 오랜 동맹국으로서 미국이 신뢰할 수 있는 특별한 파트너임을 강조했다. 또 한국의 첨단산업 및 제조업 역량, 양국 간 긴밀히 연계된 산업공급망 등을 감안할 때 한국이 미국의 제조업 재건을 위한 최적의 상대임을 피력했다.
아울러 이번 제안이 조속한 시일내 구체화되고 성공적으로 이행되기 위해서는 자동차, 철강 등 품목별 232조 관세 철폐 또는 완화가 매우 중요하므로, 최종 합의에는 품목관세가 반드시 포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여 본부장은 “8월 1일까지 새로운 유예기간으로 3주 정도 시간을 확보했으나 여유있는 시간은 아니므로 본격적인 협상 가속화로 랜딩존(landing zone)을 찾아야 할 시점”이라면서 “한미 제조업 협력방안을 구체화해 나가면서 양국 모두에게 이익이 되는 결과 도출을 위해 전력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여 본부장과 러트닉 상무장관은 이번 면담에 이어 9일에도 추가 협의를 이어나가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