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태원 대한상의 회장(SK그룹 회장)이 8일 서울 중구 대한상의 회관에서 열린 ‘지속가능한 우리 사회를 위한 새로운 모색’을 주제로 한 토론회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사진=대한상의)
저출생 문제도 마찬가지다. 저출생과 관련해 예산을 투입해 대응했지만 제대로 작동하지 않고 있다는 점을 사례로 들었다. 최근 일어나는 사회 문제들이 상당히 복잡해지고 발생 속도가 빨라지면서 돈으로만 이를 해결하는 것은 비효율적이라는 것이다.
최 회장은 사회적 가치나 외부 효과를 시스템 내부로 가져와 내부화시키고, 기업을 비롯한 여러 경제 주체들이 문제를 해결하면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식의 방안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돈을 버는 만큼 사회 문제를 해결하는 것도 같이 생각할 수 있도록 인센티브와 시스템을 바꾼다고 생각하면, 꽤 효과가 있을 가능성이 있다”며 “사회적 가치를 경제 시스템에 내재화시킬 필요가 있다”고 했다. 이어 “사회 문제를 좋은 마음만 가지고 해결하라는 것은 그 문제의 해결 속도를 만족시킬 수 없기 때문에 문제를 풀 수 있는 사람에게 경제적인 인센티브 형태를 줘 문제를 해결할 필요성이 있다”고 덧붙였다.
이날 토론회에서 전문가들은 한국의 현재 상황을 인공지능(AI) 대전환, 저성장, 통상환경 재편 등 급변하는 경제 환경에 더해 인구 소멸, 지역 불균형, 기후 위기 등 사회 문제가 급속도로 심화하는 복합 위기라고 진단했다. 우리 사회의 생존과 사회문제 해결을 위해 ‘신기업가정신’을 바탕으로 기업와 사회, 정부가 함께 연대할 필요가 있다고 봤다.
김재구 한국경영학회 전 회장(명지대 교수)은 ‘기업가정신의 진화와 우리나라 현실 진단’ 주제 발표를 통해 “기업은 기존의 생산자를 넘어 사회문제 해결의 설계자이자 실천자로 역할을 확대하고 있지만, 미국 등과 비교했을 때 우리 사회는 취약한 부분이 많다”며 “모든 이해관계자가 혁신 생태계를 공동 설계·참여하고 함께 책임지는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서 신기업가정신이 역할을 해야 한다”고 했다.
이정현 한국경영학회 전 수석부회장(명지대 교수)은 “이제 기업에 혁신이란 고객, 즉 사회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으로 봐야 한다”며 “수익과 주주가치 중심 전략을 넘어 사회적 가치를 핵심으로 내재화해 경제적 가치로 선순환하는 구조를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날 행사는 대한상의 신기업가정신협의회(ERT)와 한국사회과학협의회가 공동 주최했다. 최 회장을 비롯해 경제, 사회, 행정, 정치 등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주요 학회와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 대한변호사협회 등이 행사에 참여했다. ERT는 대한상의가 지난 2022년 발족시킨 기업 협의체로 현재 약 1850개 기업이 참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