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은행 본부 전경. (사진= 이데일리DB)
8일 한은에 따르면 IT전략국은 전날(7일) 사업예산 137억원 규모의 ‘망분리 개선 시범이용 시스템 구축 사업’ 제안 요청서를 공개했다.
정부와 협력해 추진 중인 ‘망개선 파일럿 사업’을 본 궤도에 올리는 것으로, 한 대의 PC로 내·외부망을 동시 사용할 수 있는 서비스를 구축해 올해 11~12월에 한은 직원 200명을 대상으로 시범이용을 진행하는 내용이다.
이번 시범 사업은 단순히 테스트를 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망통합 환경을 한은에 전면 도입하기 위한 첫 단계다. 사용자 의견과 오류 사항 등을 반영해 수정·보완을 거친 후 내년 2~3월 중으로 한은 전체로 확대할 계획이다.
한은 관계자는 “최종 목적은 노트북 한대로 언제 어디서나 편리하고 안전하게 업무를 볼 수 있도록 하자는 것”이라며 “보안도가 떨어질 수 있는 부분을 고려해 국정원과 함께 해킹 모의시험을 진행하고 보안 관제 인원을 충원하는 등 만전을 기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2013년 발생한 금융회사 대규모 전산망 마비 사고 이후 금융권은 물리적인 내·외부 망분리를 도입했다. 한은의 경우 내부망(한은 그룹웨어)은 회사 내 데스크톱을 통해서만 접속할 수 있고, 그 밖의 인터넷 사용은 개별로 지급된 랩톱을 통해서만 가능했다.
사용 환경 자체가 다소 불편하기도 했지만 AI 챗봇 등이 보편화되면서 신기술 활용에 제약이 생긴 점이 망개선 작업 추진의 결정적인 이유다. 한은 내부 시스템과 AI 사용 환경이 물리적으로 분리돼 있다 보니 내부 정보를 AI 학습에 활용하지 못하는 등의 문제가 생겼다. 클라우드, 모바일, 재택근무 등의 확산으로 업무 환경에 전반적인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 점도 망분리 환경의 한계로 지적됐다.
다른 공공기관과 금융계 공기업 등도 상황은 크게 다르지 않다. 지난 12년 간 인터넷 연결을 일괄 차단하는 망분리 규제로 사이버 위험에 대한 보안 우려는 낮출 수 있었지만, 신기술 활용에 있어서는 한계에 부딪힌 것이다. 망분리 규제가 신기술 도입과 연구·개발을 저해하고, 금융권 경쟁력 저하가 우려된다는 비판도 제기됐다.
이에 금융당국은 지난해 8월 ‘금융분야 망분리 개선 로드맵’을 공식 발표한 바 있다. 이재명 정부 역시 유연한 업무환경을 위해 망 중심 보안에서 데이터 중심 보안으로 전환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