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다수 금감원 직원은 분리에 반발하는 분위기다. ‘소보처를 분리해야 소비자 보호가 강화된다’는 논리는 현실에 대한 몰이해에서 비롯됐다는 것이다. 한 금감원 직원은 “금융소비자법 범위 밖에 있는 민원에 대해선 결국 감독 권한이 있는 금감원에 이첩하겠다는 답변만 반복하게 될 것”이라고 했다. 따로 만들어봐야 무용론만 더 커질 수 있다는 것이다.
금감원 한 임원도 “사실 지금도 소보처와 감독·검사국 간 협업이 잘 안 되는데 잘라서 별개 기관으로 만들어 놓으면 협조가 더 안 될 수 있다”고 했다. 금감원 노조는 지난 4일 “금융소비자 보호 기능 강화는 감독과 검사 기능이 함께 있어야 가능하다”는 취지의 성명을 냈다.
특히 현재 금소처에서 근무 중인 직원 사이에서는 순환 근무 도중 갑자기 ‘소속’이 바뀔 수 있다는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금감원에서 금소처는 민원을 해결하는 ‘험지’로 통한다. 직원들 사이에선 “순환 근무로 금소처에 와서 고생은 고생대로 했는데 갑자기 회사가 쪼개지면 낙동강 오리 알 신세 되는 게 아니냐”는 하소연마저 나온다. 금감원 분리를 주장하며 현 정부의 핵심 인사 중 한 명으로 통하는 모 대학 교수에 대해서도 직원들은 “금감원에서 3년 일한 ‘수박 겉핥기’ 식 경험을 갖고 다 아는 듯이 전문가 행세를 하는데 현실을 모르는 소리다”며 반감 어린 말이 흘러나오고 있다.
이 와중에 금융위 분위기는 사뭇 다르다. 금융위 사무처장이 최근 부동산 대출 규제를 내놓은 뒤 이재명 대통령에게서 칭찬을 듣는 등 우호적 분위기가 연출됐다. 이 대통령의 공약인 ‘배드뱅크’와 관련해서도 발 빠르게 정책을 내놓으며 코드 맞추기에 나선 모양새다. 금감원 직원은 “‘이러다 금감원만 쪼개지는 최악의 상황이 오는 것 아니냐’는 말까지 나온다”며 자조하는 분위기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