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시내 아파트 단지의 모습. (사진=연합뉴스)
문제는 다른 은행으로 대출을 갈아타는 길이 막히면서 금리 인하기임에도 이자 절감 혜택을 볼 기회가 줄었다는 점이다. 특히 ‘영끌’ 부동산 광풍이 불던 2020년 혼합형(5년 고정 이후 변동 금리) 주담대를 받은 차주는 당시 2%대의 금리였지만 최근엔 4~5%대로 올라 갈아타기가 필요한 시점이다. 여기에 하반기 대출 총량 목표치를 절반으로 감축하는 등 강도 높은 규제가 동시다발적으로 이뤄지면서 은행 자체적으로도 대환 경쟁을 펼칠 유인이 사라졌다. 굳이 다른 은행에서 고객을 뺏어와 대출 총량을 늘릴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시장에선 윤석열 정부 때 도입한 대환대출 인프라 서비스는 금리 경쟁을 촉진해 이자를 경감시키는 정책으로 호응을 얻었지만 이재명 정부 초기 가계대출 급증세를 잡아야 하는 상황과 맞물려 사실상 실종됐다는 반응이다. 이자 절감은커녕 가계대출 관리 기조에 금리 인하 속도는 더뎌졌고 특히 주담대 급증 우려 속에 주담대 금리가 신용대출 금리보다 높게 유지되는 ‘금리 역전’ 현상이 나타나는 상황이다. 한국은행도 지난 10일 가계대출 급증 가능성을 고려해 기준금리를 동결했다. 지난달 전체 금융권 가계대출은 6조 5000억원 늘어 8개월 만의 최대 증가 폭을 기록했다.
소비자 권리를 침해하고 이자 부담 경감으로 소비 여력을 늘릴 가능성을 떨어트렸다는 지적도 나온다. 박합수 건국대 부동산대학원 교수는 “이자 부담이 줄면 그만큼 소비로 연결돼서 경제 활성화로 이어질 수 있는 데 이런 흐름을 차단하는 문제가 생긴 것”이라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