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임광현 국세청장 후보자가 9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제427회국회(임시회) 기획재정위원회 제1차 전체회의에서 이석하고 있다. 2025.7.9/뉴스1 © News1 안은나 기자
임광현 국세청장 후보자(56)에 대한 국회 인사청문회가 15일 열린다. 국세청 차장 출신의 임 후보자는 국세청장 직무 수행에 필요한 전문성을 두루 갖춘 적임자로 평가받고 있다.
다만 야당이 청문회에서 임 후보자의 '전관예우' 논란 등에 대해 날카로운 검증을 예고하고 있어, 이에 대한 임 후보자 측의 대응이 주목된다.
국회 기획재정위원회는 이날 임 후보자에 대한 인사청문회를 개최한다.
임 후보자는 1994년 행정고시 38회로 국세청에서 공직 생활을 시작했고, 2022년 국세청 차장으로 퇴임한 정통 세무 관료다.
그는 고위공무원으로 승진한 뒤 본청과 서울청 중부청에서 잇따라 조사국장을 맡는 등 '조사통'으로 평가받는다. 지난 2017년 문재인 정부 당시에는 '재계 저승사자'로 불리는 서울청 조사4국장을 맡기도 했다.
특히 이재명 대통령의 이번 국세청장 인선은 임 후보자가 현역 국회의원이라는 점에서 화제가 됐다.
국세청장은 국무위원이 아니기 때문에 현역 국회의원직을 포기해야 함에도, 임 후보자는 후보 지명을 받아들였다.
국세청 안팎에서는 임 후보자가 오랜 시간 공직 생활을 한 만큼, 전문성 측면에서는 문제가 될 것이 없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국세청 관계자는 "임 후보자는 현직에 있을 때도 업무 능력을 인정받은 바 있다"며 "청문회 준비 과정에서도 국세청의 세정 정책과 관련해 막힘없이 이해하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지난해 2월 국회에서 열린 인재환영식에서 당시더불어민주당 대표였던 이재명 대통령이 전 국세청 차장인 임광현 국세청장 후보에게 민주당 옷을 선물하고 있다. 2024.2.16/뉴스1 © News1 송원영 기자
다만 야당에선 임 후보자에 대한 '전관예우' 의혹을 제기하며, 청문회에서 집중 공세를 예고하고 있다.
임 후보자는 국세청 퇴직 후 2022년 9월부터 지난해 4월 총선 출마 전까지 세무법인 '선택'의 대표 세무사로 일했다. 이 기간 임 후보자가 수령한 급여는 총 2억 3000만 원이다.
특히 임 후보자는 해당 기간 수임·자문 실적이 없었다. 그가 몸담았던 이 세무법인은 설립 9개월 만인 2023년 6월 기준, 매출 45억 4000만 원, 영업이익 24억 6100만 원을 기록하는 등 비약적으로 성장했다.
이와 관련해 임 후보자는 인사청문회 서면질의 답변서에서 "세무법인에서 월 1200만 원 정도의 급여를 받은 것이 전부이며, 전관예우 등은 없었다"고 해명했다.
이어 "개인적으로 수임한 건은 없으며, 기존에 활동하던 세무사들이 세무법인을 만드는 데 참여해달라는 제안에 따라 법인에 합류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현직 국회의원으로는 이례적으로 국세청장에 지명돼 정치적 중립성이 우려된다는 지적도 있다.
이와 관련해 임 후보자는 "국세 공무원으로서 국세청 내부에서 쌓은 전문성에 더해, 국회의원으로서 국회 활동을 통해 확보한 넓은 시각과 각종 경험, 입법에 대한 이해 등을 결합해 국민의 입장에서 보다 더 공정하고 투명한 국세 행정이 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iron@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