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MHN 조윤진 인턴기자) 국민연금의 국내주식 투자 방식에 따라 거래 비용과 시장에 미치는 영향이 크게 다르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15일 국민연금공단은 국민연금연구원이 작성한 '국내주식 기금운용 투자전략별 거래 특성에 관한 연구' 보고서를 통해 이러한 내용을 공개했다.
보고서는 국민연금이 운용하는 1천36조 원(2023년 말 기준) 규모의 기금 가운데 국내주식 투자의 전략별 특성과 비용 구조를 면밀히 분석했다.
특히 외부 운용사에 맡긴 '액티브 위탁운용' 전략이 시장 변동성을 확대하고, 숨겨진 거래 비용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나 관심이 모인다.
한편, 국민연금은 세계 3대 연기금으로서, 그 거대한 규모로 인해 국내 증시에 큰 영향을 미친다.
보고서는 투자 전략을 크게 '직접운용'과 '위탁운용', 그리고 '패시브'와 '액티브' 방식으로 나눴다. '패시브'는 시장 지수를 그대로 추종하며 안정적인 수익을 노리는 방식이고, '액티브'는 시장 평균을 웃도는 수익을 목표로 종목을 적극적으로 매매하는 방식이다.
국민연금은 현재 국내주식의 약 30%를 패시브, 70%를 액티브 전략으로 운용하고 있으며, 이 중 절반가량은 외부 운용사에 맡기는 '위탁운용'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보고서는 투자 방식에 따라 '시장충격비용'에서 확연한 차이가 나타남을 조명했다. 시장충격비용이란 국민연금과 같은 대규모 자금이 주식을 대량으로 사고팔 때, 주가를 순간적으로 올리거나 내리면서 발생하는 '보이지 않는 비용'을 뜻한다. 이 비용이 증가할수록 기금의 실제 수익률은 줄어든다.

분석에 따르면, 국민연금이 직접 운용하는 방식, 특히 '액티브 직접(코어)' 전략은 시장 상황을 반영해 거래를 분산하는 등 시장충격비용을 최소화함으로써 상대적으로 효율적인 특성을 보였다.
그러나 외부 운용사에 맡기는 일부 '액티브 위탁' 전략은 대량 매매 시 시장에 더 큰 충격을 안기며 높은 거래 비용을 초래했다. 특히 '순수주식형' 위탁 전략은 매수와 매도 모두에서 비효율적 거래가 관찰됐다.
이 같은 양상은 기금이 보유한 지분을 한 번에 1% 이상 변경해 공시해야 하는 '대량 보유 변동 보고' 발생일에 더욱 두드러졌다.
이처럼 특별한 거래가 발생하는 날에는 '액티브 위탁' 운용사들이 주가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의 공격적인 매매가 시장의 변동성을 높이고 추가적인 거래 비용을 유발하는 원인으로 작용한 것이다.
그런가 하면, 국민연금의 거래는 타 투자자의 매매 행태에도 영향을 준다. 개인과 외국인 투자자들은 국민연금이 대량 매매를 할 때 반대 방향으로 거래하는 '역추세' 경향을 보였다. 이는 단기 차익을 얻으려는 시도로, 시장의 단기 변동성을 키우는 요소로 작용했다.
결론적으로, 보고서는 국민연금의 국내주식 비중이 축소되는 상황에서 현재와 같은 거래 방식은 기금 수익성에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며, 시장 충격을 줄이고 거래 비용을 낮추기 위한 전략 고도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위탁운용 부문의 성과에 대한 면밀한 평가와 함께 관리 체계를 개선하고, 장기적으로 직접운용의 비중과 효율성을 높이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사진=연합뉴스, 국민연금공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