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해 3월 14일 김성태 IBK기업은행장(오른쪽)이 경기도 양주시에 위치한 디지아이를 방문해 최동호 대표(왼쪽)로부터 작업공정에 관한 설명을 듣고 있는 모습(사진=기업은행 제공)
저신용 중소기업에 대한 지원도 두드러진다. 지난해 말 기준 주요 6대 은행의 저신용 기업대출 공급 중 46%를 기업은행이 담당했다. 금융위원회가 주관하는 지역재투자 평가에서도 5년 연속 최우수 등급을 받는 등 지역경제의 균형 발전에도 이바지하고 있다.
소상공인을 위한 맞춤형 지원도 강화했다. 기업은행은 지난 2월 27일 ‘2025년 소상공인 가치금융 상생펀드’를 새롭게 선보였다. 자체 재원으로 1조원 규모로 조성한 이 펀드는 지난해에 이어 두 번째다. 저성장 기조와 내수 회복 지연으로 어려움을 겪는 소상공인에게 실질적인 금융 혜택을 제공한다.
상생펀드는 성장 유망 소상공인 지원(3000억원), 성장촉진 설비투자(5000억원), 예·적금 금리 우대(2000억원) 등 3개 부문으로 나뉜다. 특히 신규 수출계약을 맺었거나 고용을 늘린 기업, 병무청 지정 ‘나라사랑 가게’ 등 성장성을 엿보이는 소상공인에게 운전자금 대출 금리를 최대 1.2%포인트 감면한다. 금융정보가 부족해 대출 심사에서 소외되기 쉬운 소상공인도 배제하지 않도록 기업은행은 자체 빅데이터 평가모형을 활용해 사각지대를 최소화한다. 이를 통해 신용등급이 낮아도 성장 가능성이 큰 소상공인이 금융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했다.
또한, 설비투자를 통해 경쟁력을 높이려는 소상공인을 위해 시설자금 대출 금리도 최대 1.0%포인트까지 감면한다. 특히 녹색경영을 실천하거나 지적재산권을 보유한 기업에는 금리 감면 폭이 최대 1.2%포인트까지 확대한다.
김성태 기업은행장은 “이번 상생펀드는 어려움에 부닥친 소상공인을 위한 기업은행의 자발적 금융지원 프로그램이다”며 “앞으로도 다양한 금융지원 방안을 마련해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의 위기 극복을 뒷받침하겠다”고 전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