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민석 국무총리가 20일 최근 집중호우로 침수됐던 광주 북구 용강동의 한 딸기 육묘장을 찾아 피해 농민과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또 “정부 대응 과정에서 부족함이 있었다면 뼈아프게 되돌아보고 철저히 점검해 반드시 바로잡겠다”며 “현장에서 답을 찾고 지역 실정에 맞는 맞춤형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약속했다.
김 총리는 이후 기자들과 만나 “특별재난지역 선포 등 당장의 피해를 지원하고 일상을 회복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며 “신속하게 대통령께 건의드리고 상황을 있는 그대로 보고드려서 (방안을) 찾겠다”고 말했다.
정부가 가장 우선 취할 대책으로는 △긴급 대피 △복구 △방역을 꼽았다. 그는 “기본적인 것은 의식주의 해결”이라며 “그리고 나서는 작년에 당했던 것을 똑같이 당하지 않도록 긴급 방제를 하고, 그 다음에는 큰 제방 등 구조 개선을 해야 한다”고 순서를 언급했다.
이재민을 위한 소통창구 마련도 지시했다. “지자체, 중앙정부, 권익위원회 등 다양한 민원 창구가 있지만 총리실도 직접 소통하는 채널을 개설해 소통 창구를 다양화하겠다”며 “‘총리의 전화’(가칭) 같은 이름으로 준비를 하고 있다”고 밝혔다.
김 총리는 침수 피해를 본 딸기 농장에서 청취한 현장 민원 해결 등도 지시했다. 현장에서는 침수 피해에 취약한 스마트팜·태양광 시설 구조, 시군 간 보험료 격차 등 문제를 언급했다.
김 차관은 “일리가 있는 쟁의고, 조금만 노력하면 해결할 수 있는 것들이라고 본다”며 “실제 현장과 다른 것에 적극적으로 선제적으로 참여하면서 해결할 수 있도록 업무 방식을 만들어서 해야 할 것 같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