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각 글로벌 연구기관 강점 분야를 중심으로 공동R&D 추진 필요성이 높은 과제에 대한 연구개발 제안서(RFP)를 도출하고 국내 중소기업의 R&D 수요 등을 평가해 인공지능(AI), 반도체 등 10대 초격차 분야 총 52개 과제를 선정했다. 세부적으로 프라운호퍼 연구소는 29개의 과제를 채택했다. 퍼듀대는 17개, 슈타인바이스 재단은 6개의 과제를 각각 선정했다.
이들 선정 과제는 약 6개월간 1단계 사전 연구 과정을 통해 해외 협력기관과의 전략적 협업 계획 수립, R&D 로드맵 및 단계별 개발 목표 설정 등의 세부 연구 과제를 기획 및 진행할 예정이다. 향후 경쟁 방식을 통해 사전 연구 과정에서 우수성과 협력 적합성이 입증된 과제를 대상으로 2단계 본 연구를 내년부터 지원할 계획이다.
중기부는 글로벌협력 R&D 추진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지적재산권(IP) 등 법률적 이슈 해소를 위해 지난 5일 법무법인 광장 등과 연계해 설명회도 개최했다.
박용순 중기부 기술혁신정책관은 “글로벌 협력형 R&D는 중소벤처기업이 세계적인 연구기관과 함께 글로벌 수준의 기술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기회”라며 “글로벌 유수 연구기관과의 협력 체계를 유럽·아시아 등으로 확대해 중소벤처기업이 글로벌 시장으로 진출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