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EC 식량장관회의 마친 송미령 장관 "식량 안보 글로벌 리더십 확보"

경제

뉴스1,

2025년 8월 10일, 오후 04:00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10일 인천 송도 컨벤시아에서 열린 '2025년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식량안보 장관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농림축산식품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2025.8.10/뉴스1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은 10일 "이번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식량안보 장관회의와 내일 열리는 한중일 장관회의를 계기로 '기후 위기 대응, 디지털 전환, 식량 안보'라는 글로벌 농업 핵심 의제 논의를 한국이 주도해 위상이 확고해졌다"고 말했다.

이날 송 장관은 인천에서 APEC 식량안보장관회의 폐막 후 언론과 만나 장관 회의 및 국가별 회담 성과를 설명했다.

이번 장관회의는 9~10일 인천 송도컨벤시아에서 21개 회원국(경제체)이 참석한 가운데, 전원 합의로 '공동 번영을 위한 농식품 시스템의 혁신 추진'을 주제로 한 장관선언문을 채택했다. 한국은 이번 회의 의장국 자격으로 선언문 채택을 주도했다.

이외에도 △2030 식량안보 로드맵 중간 점검 △식량안보 정책 실무회의 운영세칙 확정 △회원경제체 간 혁신 사례 공유 △인공지능(AI) 활용을 위한 협력 방안에 관한 논의 등도 이뤄졌다.

송 장관은 "이번 회의에서 기후 변화와 (농촌의) 인구 구조 변화 문제가 우리만의 문제가 아닌 심각한 공통 이슈라는 것을 다시 확인했다"며 "회원국들이 표현은 달랐지만, 공통으로 첫 대응 수단으로 기술을 들었다. 디지털을 언급하지 않은 국가는 없었다"고 설명했다.

한국은 청년 농업인을 교육해 스마트팜 농업에 뛰어들도록 지원하는 '스마트팜 혁신 벨리' 사례와 '온라인 도매 시장'을 통한 농산물 유통 디지털 혁신을 선보였다.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지난 9일 인천 영종도 파라다이스시티 호텔에서 열린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식량안보 장관회의 공식 만찬에서 참석자들과 함께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농림축산식품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2025.8.10/뉴스1


농림축산식품부는 이번 회의 기간 21개국이 참여하는 전체 회의 외에 일본, 중국, 베트남, 말레이시아 등과의 양자 회담도 마련했다.

양자 회담에서는 국가별 협력 방안과 한국 농축산물 수출 관련 의견이 교환된다. 9일 중국과의 회담에서는 2018년 이후 중단된 한중 농업기술협력위원회, 민간 교류 확대, 농업 문화유산 협력 방안 등이 논의 됐다. 10일에는 말레이시아에는 기존 한우 냉동육 수출을 냉장육까지 확대하는 것이 제안될 예정이다.

11일에는 한국, 중국, 일본의 농업 장관들이 모여 협력 방안을 논의한다. 3국 장관회의는 7년 만에 재개되는 것이다.

송 장관은 3국 장관 회의 의제 관련 질문에 "내일 명확한 의제가 나와야 하겠지만 기후변화, 식량안보 문제에서 한중일 3국은 공통점이 많은 나라기 때문에 더 깊이 논의할 수 있을 것 같다"고 답했다.

한편, 송미령 장관은 이번 회의에서 높아진 한식의 위상을 다시 확인했다고 전했다.

그는 "고이즈미 신이치로 일본 농림수산성 장관은 점심을 먹으며 본인이 제일 좋아하는 한국 음식을 '잡채'라고 정확한 발음으로 말했다"며 "러시아 대표와는 초코파이를 이야기했는데, 옆에 있던 말레이시아 장관이 관심을 보였지만 할랄 푸드가 아니어서 선물로 드리지 못하기도 했다"고 말했다.

seungjun241@news1.kr

추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