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롯데켐 대산 EG공장도 1년째 휴면…더 커진 석화 셧다운 공포

경제

이데일리,

2025년 8월 10일, 오후 06:49

[이데일리 김성진 기자] 중국발(發) 공급과잉 탓에 경쟁력을 잃은 국내 석유화학 업계에 셧다운(공장 가동 중단) 공포가 덮쳤다. 공장을 돌려도 손실만 불어나자 차라리 공장 문을 닫는 결정이 최근 잇따르는 가운데, 롯데케미칼 대산 에틸렌글리콜(EG) 2공장도 이미 1년 넘게 휴면 상태인 것으로 확인됐다. 업계에서는 “뚜껑을 열어보니 예상했던 것보다 사태가 심각해 보인다”는 평가가 나온다.

10일 업계에 따르면 롯데케미칼 대산 에틸렌글리콜(EG) 2공장은 지난해 4월부터 현재까지 1년 4개월 동안 장기 가동 중단 상태를 이어가고 있다. 롯데케미칼 관계자는 “업황에 맞춰 가동률을 조절하는 중”이라고 했다. EG는 에틸렌을 원료로 하는 대표적인 범용 석유화학 제품으로, 폴리에스터 섬유·PET병의 주원료이자 자동차 부동액에 주로 쓰인다.

EG 2공장은 롯데케미칼이 지난 2008년 40만톤(t) 규모로 증설한 곳이다. 당시 이미 65만t의 EG를 생산하던 롯데케미칼이 석유화학 제품 수요처로 급부상하는 중국 시장을 노리고 새로 만들었다. 하지만 최근 몇 년간 EG를 비롯한 범용제품 시장 상황은 급변했다. 중국이 대규모 설비 증설에 나서면서 공급이 폭발적으로 늘어난 것이다.

중국만 바라보고 공장을 증설하던 국내 석유화학업체들은 최근 하나 둘 공장 문을 닫고 있다. 롯데케미칼은 지난해 말 여수 2공장 EG 산화에틸렌유도체(EOA) 생산라인을 멈췄으며, LG화학은 대산·여수 공장의 석유화학 원료 스티렌모노머(SM) 생산을 중단한 바 있다. 특히 제 3공장 가동 중단을 결정한 여천NCC는 현재 공동 경영 중인 한화와 DL이 디폴트(채무불이행) 여부를 놓고 갈등을 벌이고 있다.

문제는 이런 ‘셧다운’이 장기화할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중국에 비해 국내 업체들의 원가경쟁력 개선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업계 관계자는 “알려지지 않은 가동 중단 공장들이 더 있을 것”이라며 “사업재편이 시급하다”고 했다.

롯데케미칼 대산공장.(사진=롯데케미칼.)

추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