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연합뉴스)
구윤철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15일 관계부처 합동 경제관계장관회의를 주재하고 이 같은 내용의 ‘농산물 유통구조 개선방안’을 발표했다. 이번 개선안은 △농산물 유통구조 디지털 혁신 △도매시장 경쟁 촉진·공공성 제고 △소비자의 합리적 선택 지원 △안정적 농산물 생산 및 유통 기반 구축 등 4대 전략을 중심으로 추진해 온라인 도매시장 거래액을 올해 1조원에서 2030년 7조원으로 크게 늘린다.
우선 온라인 거래 활성화를 위해 판매자들의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운영 온라인 플랫폼 가입 기준(현행 거래규모 20억 원 이상 요건)을 없애고, 이용자에게 물류비·판촉비 등에서 선택 지원하는 맞춤형 바우처를 제공하는 등 활성화 기반을 조성한다. 정가거래 중심 구조에 더해 예약거래 활성화, 경매·역경매, 다품목·소량 거래 기능도 구축한다.
또한 소비자의 합리적 선택을 돕기 위해 제철 농산물, 판매처별 가격, 알뜰소비 정보를 한눈에 볼 수 있는 대국민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앱)을 개발해 내년에 보급하고, 생산·작황 정보와 도·소매 가격, 할인 정보를 통합 제공하는 농산물 정보통합 플랫폼도 2028년까지 구축할 계획이다.
주요 품목 주산지에는 스마트 산지유통센터(APC)를 확충·고도화한다. 품목별 상품화 공정의 최적화 표준모델을 개발하고, 운영 효율화를 위해 인공지능(AI) 기반 생산·유통 정보 분석 시스템을 도입할 예정이다. 아울러 농가에는 온라인 셀러 정보와 유통 컨설팅을, 셀러에는 우수 산지 정보와 맞춤형 물류비를 지원하는 시범사업을 내년부터 추진한다.
도매시장 개편도 병행한다. 거래 규모별 중도매인 성과평가를 새로 도입하고, 도매법인 지정취소 의무화와 신규법인 공모 등 ‘농수산물 유통 및 가격안정에 관한 법률(농안법)’ 개정을 올해 하반기 추진한다. 경매 물량 집중 등으로 가격이 급락할 경우 출하자를 지원하는 출하가격 보전 제도도 도입한다.
기후위기 속 안정적 공급 기반을 위해선 수급관리계획에 따른 사전 재배면적 조정·관리 체계를 구축하고, APC의 역할을 산지 작업반 구성 등 농작업 대행까지 확대해 농촌 인력 부족에도 대응하기로 했다.

(자료=농식품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