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광우 초대 금융위원장(세계경제연구원 이사장)은 서울 강남 삼성동 위치한 세계경영연구원에서 가진 인터뷰에서 현 정부가 추진 중인 정부조직 개편안을 두고 이같이 말했다.

[이데일리 김일환 기자]
첫째는 내용이다. 그는 “개방경제 시스템에서는 금융 정책을 국내와 국제를 하나로 묶어 효율적으로 다루는 것이 중요하다”면서도 세종에 위치한 기획재정부로 국내 금융정책 업무를 넘기는 안은 문제가 많다고 했다. 금융사들이 밀집한 서울과의 물리적 거리는 가볍게 볼 사안이 아니라는 것이다.
전 전 위원장은 “기재부가 세종으로 내려가면서 금융허브 서울과 괴리가 커졌다. 정책 라인과 시장이 떨어져 있으면 금융정책의 속도와 효율성이 저하되고 경쟁력도 약화된다. 여의도를 아시아 금융허브로 키우기 위해서는 금융정책의 컨트롤타워 역시 시장과 같은 공간에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전 전 위원장은 “금융정책과 감독을 과도하게 분리하는 건 비효율적”이라며 “차라리 기재부가 맡고 있는 국제금융 업무를 금융위로 통합하는 게 효율적”이라고 강조했다.
둘째는 절차다. 17년 만에 금융정책 컨트롤타워 틀을 손보는 큰 변화인데 이해관계자와 전문가들의 의견을 제대로 수렴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전 전 위원장은 “국가 경제의 핵심 조직을 개편하려면 공청회와 토론을 거쳐 국민적 합의를 끌어내야 한다. 그러나 이번 개편 과정은 그 절차가 부족했다”고 지적했다,
세번째는 ‘시기’(時機)다. 전 전 위원장은 “올해 성장률이 주요국 중 최하위다. 경제가 오래 눌리면 용수철처럼 회복탄력을 잃는다. 정부가 가장 강한 추진력을 발휘할 수 있는 첫해에 해야 할 일 중 우선순위는 경제 반전이지, 조직 개편이 아니다”라고 했다. 조직 개편을 아무리 서두르고 빨리 안정화한다고 해도 상당기간 혼란이 불가피하다는 이유에서다,
그는 “금융이 경제 성장의 촉매제가 되어야 할 중차대한 시점에, 부처 개편으로 힘을 분산하는 건 이해하기 힘들다”며 “이런 시점에 논란을 야기해 국력을 낭비하는 것은 국가 미래에도 부합하지 않는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재명 대통령이 공약한 ‘코스피 5000 시대’에 대해 전 전 위원장은 ‘규제 불확실성 해소’를 최우선 과제로 꼽았다.
그는 “헨리 페르난데츠 MSCI(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회장에게 MSCI 선진국 지수에 들어가기 위해서 해야할 일을 물었더니 그가 ‘한국은 이미 답을 알고 있다. 선택의 문제 일 뿐’이라고 하더라”라며 “오락가락하는 공매도 규제가 대표적”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