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플랫폼(C커머스)과의 동맹을 선택한 정 회장이 ‘아픈 손가락’이었던 이커머스 사업 경쟁력을 끌어올릴 수 있을지 관심이다. 업계에선 이번 합작의 성공 유무가 신세계 이커머스 사업의 향방을 결정짓는 분수령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사진=신세계그룹
18일 공정거래위원회의 기업결합 최종 승인에 따라 신세계그룹과 알리바바인터내셔널(알리바바)의 합작법인(JV) ‘그랜드오푸스홀딩’이 공식 출범하게 됐다. 신세계그룹 아폴로코리아가 G마켓 보유 주식을 100% 현물 출자하고, 알리바바는 알리 지분과 현금 3000억원을 출자하는 방식(5대5)으로 설립된다. 합작법인은 G마켓과 알리를 자회사로 두고, 각각 독립적인 운영체계를 유지하며 협업한다는 방침이다.
이번 합작법인 출범으로 G마켓은 해외 역직구 시장을, 알리는 한국 시장을 체계적으로 공략할 수 있게 됐다. 합작 승인 직후 신세계그룹 측이 강조한 부분도 역직구 시장이다. 이날 G마켓은 60만 입점 셀러들을 대상으로 연내 싱가포르, 베트남, 태국, 필리핀, 말레이시아 등 동남아시아 5개국에 진출하겠다고 발표했다. 해당 지역은 K콘텐츠에 대한 호응이 높은 곳들로, 셀러들이 판매할 상품은 총 2000여개다.
G마켓은 동남아 5개국에 이어 유럽, 남아시아, 남미, 미국 등 알리바바가 진출한 200여개국으로 판로를 점차 확대시킬 예정이다. G마켓 셀러들은 단순 상품 등록을 넘어 통관, 물류, 현지 배송, 반품, 고객 관리까지 지원을 받게 된다.
또한 G마켓 셀러들은 알리의 한국상품 코너 ‘K베뉴’에도 입점한다. 알리 입장에선 경쟁력 높은 K셀러들을 다수 확보하게 된 것이 가장 큰 소득이다. 이를 통해 한국내 해외 직구 시장 등을 강화할 방침이다. 그간 C커머스라는 한계로 고객정보 및 데이터 관리 유출, 안전 문제 등의 우려가 제기됐지만, 이번에 국내 대표 유통그룹 신세계와 손을 잡게 되면서 이 같은 불신을 해소할 수 있게 됐다.
신세계그룹 관계자는 “고객정보 관리는 공정위가 심사 과정에서 면밀하게 검증한 부분”이라며 “향후 고객정보 관리를 한층 강화하는 방안을 마련해 실행하기로 했고 지속적으로 검증 받을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커머스 혁신 위한 정용진의 마지막 승부수
8개월이나 끈 심사 끝에 마무리된 한국과 중국 이커머스 업체간 합작은 국내 유통업계에서도 이례적인 행보로 여겨진다. 특히 여러 우려점이 많은 C커머스와의 동맹은 기업의 최고 의사결정자의 선택이 없다면 추진되기 어려운 사안이다. 때문에 G마켓과 알리의 합작은 정용진 신세계그룹 부회장이 이커머스 사업 혁신을 위해 던진 승부수로 보는 시각이 많다.
정 회장은 쿠팡 등 이커머스로의 쏠림으로 오프라인 유통시장이 위축되자 지난해부터 본업경쟁력 강화를 집중 추진하며 반등을 이뤄냈다. 하지만, G마켓·SSG닷컴 등 자체 이커머스 사업은 여전히 적자를 면치 못하는 상황이다. 이에 정 회장은 지난해 G마켓·SSG닷컴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물류에 강점이 있는 CJ그룹과 동맹을 맺는 등 외부 기업들과 연합 전선을 구축하기 시작했다. 이번 알리와의 합작도 같은 맥락이다. 이미 쿠팡(점유율 22.7%)과 네이버(20.7%)로 이커머스 시장 판도가 굳어지는 상황에서 C커머스와의 동맹을 통해서라도 경쟁력을 끌어올리려는 시도다.
이커머스 업계에선 정 회장의 이 같은 승부수가 국내 시장에 일부 균열을 낼 것으로 보는 시각이 많다. A이커머스 업체 관계자는 “현재도 G마켓은 국내 플랫폼 중에서도 역직구가 활성화된 곳인데, 알리와의 합작은 시너지를 낼 가능성이 높다”며 “쿠팡과 네이버 양강 구도를 바로 깨긴 힘들겠지만, ‘2강(쿠팡·네이버) 1중(합작법인)’의 형태로 견제할 수 있는 역할은 충분히 할 것”이라고 했다.
G마켓과 알리의 합작은 사실상 신세계그룹의 이커머스 사업 미래를 결정짓는 마지막 승부수가 될 것이란 것이 업계의 전망이다. 일각에선 자칫 향후 G마켓이 알리로 흡수될 가능성도 제기되는 만큼 향후 사업의 성과가 중요하다.
이호택 계명대 경영학과 교수는 “오프라인 중심 기업이었던 신세계그룹이 이번에는 이커머스 사업에 승부수를 던진 것”이라며 “과거 신세계가 독자적으로 시도했다가 성공하지 못했던 사업들과 달리, 이번엔 알리라는 거대 플랫폼과 손을 맞잡은 것인 만큼 다른 결과가 나올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