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태원 SK그룹 회장은 3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SK AI 서밋(Summit) 2025’에 참석해 AI의 폭발적인 성장으로 AI 반도체 공급 보틀넥(병목) 현상이 심화하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같은 상황에서 메모리 반도체 생산능력 확대와 기술 혁신을 통해 수요에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3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 오디토리움에서 열린 ‘SK AI 서밋 2025’ 키노트 세션에서 ‘AI Now & Next’를 주제로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최 회장은 이날 ‘AI의 현재와 미래’를 주제로 기조강연을 진행했다. 최 회장은 “학습형을 넘어 추론형 AI가 본격화하면서 컴퓨팅 파워가 더 필요해졌고, 기업 간 거래(B2B) 영역에서도 본격적으로 AI를 도입하기 시작했다”며 “또 AI 에이전트가 등장해 디지털 공간을 넘어서 집, 회사, 공장 등 물리적 공간에 항상 연결된 상태로 존재할 것”이라며 AI 수요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는 요인에 대해 설명했다.
최 회장은 “다만 AI 컴퓨팅 파워에 대한 공급이 수요 성장세를 따라가기 어려워 상당한 미스매치가 일어날 것”이라며 “AI 수요가 얼마나 늘어날지 예측이 어려운 데다, 투자 관련 지정학적 문제도 있어 공급을 더욱 어렵게 하고 있다”고 말했다.
SK그룹은 고대역폭메모리(HBM) 등 메모리 관련 솔루션 제공, AI 데이터센터 등 인프라 구축, AI를 적용한 생산 효율화 등을 통해 폭발적으로 성장하는 AI 수요에 대응하고, 새로운 사업 기회를 만들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최 회장은 AI 수요 증가로 많은 기업들이 HBM 공급 요청을 하고 있다며 “저희가 공급하지 못하면 그들이 사업을 하지 못하는 상황에 접어들 수 있어서 책임지고 공급하기 위해 상당히 고민 중”이라고 했다. SK하이닉스는 엔비디아에 HBM을 주력으로 공급하고 있는 데 이어 최근 오픈AI로부터 ‘스타게이트 프로젝트’에 필요한 HBM을 월 90만장씩 공급해달라는 요청을 받았다.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가 3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 오디토리움에서 열린 ‘SK AI 서밋 2025’ 키노트 세션에 영상으로 참석해 축하 메시지를 하고 있다.(사진=공지유 기자)
최 회장은 HBM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최근 완공한 청주 M15X 팹(공장), 2027년 가동 예정인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등을 통해 생산능력(캐파)을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최 회장은 “이를 통해 공급 부족(숏티지)이 나는 상황을 최대한 막을 것”이라고 했다.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3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 오디토리움에서 열린 ‘SK AI 서밋 2025’ 키노트 세션에서 ‘AI Now & Next’를 주제로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사진=공지유 기자)
AI 인프라 구축 계획도 언급했다. 최 회장은 “AI 데이터센터를 구축하고 시스템, 전력, 운영까지 모든 측면에서 효율적인 인프라 솔루션을 제공할 것”이라고 했다. SK는 가산 지역에 AI 컴퓨팅 클러스터를 구축했으며, 2027년 가동을 목표로 울산에서 100메가와트(MW) 규모의 AI 데이터 센터를 짓고 있다. 향후 전력 용량을 1기가와트(GW)급까지 증설한다는 계획이다.
마지막으로 제조 공정에 AI를 적용해 반도체 생산과 데이터센터 운영 효율성을 높이겠다고 강조했다. 최 회장은 “엔비디아와의 협업을 통해 메모리 칩 생산에 AI 적용을 본격 시작했다”며 “엔비디아의 ‘옴니버스’ 플랫폼을 활용해 생산 효율을 획기적으로 높이겠다”고 말했다.
최 회장은 이어 “우리는 파트너와 경쟁하지 않고, 고객과 파트너에게 도움이 되는 방향의 파트너십을 원칙으로 삼고 있다”며 “국내뿐 아니라 빅테크, 스타트업, 각국 정부까지 포함한 파트너와의 사업 기회를 만들어낼 것”이라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