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조1구역 공사비 갈등 해결에 서울시 정비사업 코디네이터 중재 있었다

재테크

이데일리,

2025년 4월 01일, 오전 06:01

[이데일리 최영지 기자] 조합원과 집행부 지속적인 분쟁으로 공사중단과 공사비 증액 갈등을 연이어 겪어왔던 은평구 대조 1구역 재개발정비사업이 1년여의 노력 끝에 마침내 해결됐다.

서울시청 청사 전경. (사진=뉴시스)
서울시는 서울시가 파견한 ‘정비사업 코디네이터’와 은평구의 적극적인 조정과 중재로 합의를 끌어내면서 갈등이 해결됐다고 1일 설명했다.

정비사업 코디네이터 제도는 정비사업이 지체되거나 갈등을 겪고 있는 현장에 건축·도시계획·도시행정·도시정비 등 관련 분야 전문가나 변호사 등으로 구성된 전문가집단(1개조 2명~5명)을 파견하는 제도다.

대조1구역 재개발사업은 시공자가 설계변경·특화설계 등 1776억원, 공사중단·공기연장 등 손실 비용과 물가변동 등으로 1995억원 등 총 3771억원을 증액 요구하며 일반분양 및 준공 지연 등이 예상되는 상황이었다.
이에 서울시는 지난해 1월5일 정비사업 코디네이터를 파견, 시·구·조합·시공자가 참여하는 회의를 지속적으로 개최했고 그 결과 조합의 적극적인 노력과 시공자의 양보로 합의안이 마련됐다. 이후 2566억원 증액으로 공사비 합의를 이뤘고 지난달 29일 증액관련 의결을 끝냈다.

2012년부터 진행된 정비사업 코디네이터는 지난해 총 15개 정비지역에 파견, 지난해 8월 미아·안암2구역과 12월 역촌 1구역에 이어 올해 1월 이촌동 현대아파트 리모델링 사업과 3월 말 대조 1구역까지 총 8개 구역에 대한 합의안을 이끌어냈다. 현재는 천호1구역, 노량진6구역 등 총 6곳에선 조정 및 중재 활동이 진행 중이다.

최진석 서울시 주택실장은 “조합 내부 갈등, 공사비 갈등 등의 여러 갈등 상황으로 인하여 사업이 장기간 지연될 수 있는 만큼 앞으로도 서울시가 갈등관리에 적극 나서서 갈등을 사전 예방하고 해결해 신속한 주택공급을 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