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상반기 건설사 폐업 304건…건산연 “M&A 지원해야”

재테크

이데일리,

2025년 7월 03일, 오후 03:21

[이데일리 김형환 기자] 최근 중소 건설기업의 폐업이 증가세가 이어짐에 따라 인수합병(M&A)과 관련해 정부의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종합건설기업 폐업 공고 건수 변화 추이. (사진=한국건설산업연구원 제공)
한국건설산업연구원(건산연)은 3일 ‘건설업 M&A의 최신 동향과 시사점 : 신속한 경영정상화와 지속 가능한 성장 기반 마련’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종합건설기업은 2009년부터 2012년까지 연간 500건이 넘는 폐업이 이어지다 2013년부터 2022년까지 400건 이후로 안정세를 보였다. 이후 폐업이 2023년(581건) 급증한 이후 지난해 641건으로 최고치를 기록했다. 올해 상반기까지 폐업 건수는 304건으로 연말까지 600건을 넘을 것으로 예상된다.

건산연은 최근 건설업계까 경기 침체와 자금 경색 등 구조적 위기에 직면함에 따라 이 같은 현상이 벌어지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M&A가 신속한 경영정상화와 경쟁력 회복을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는 것이다. 건산연은 “회생절차 내 이뤄지는 M&A는 건설업계 구조조정과 산업 재편을 촉진할 뿐만 아니라 인수기업의 성장 동력 확보에도 중요한 역할”이라고 설명했다.

이처럼 M&A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지만 회생 절차에 들어간 기업의 M&A는 법원 감독 하에 진행돼 정보 공개의 한계가 있다. 법원은 인수 주체, 거래 금액, 절차 등 관련 정보를 제공하지만 대부분의 중소 건설기업의 경우 비상장, 비공개 기업이 많아 정보 공개의 한계가 있는 상황이다. 특히 양수·양도 과정에서 ‘건설산업기본법’에 따른 절차가 마련돼 있으나 실제 거래 정보는 중개업체를 중심으로 비공개로 운영하는 실정이다.

이와 관련해 건산연은 중소 건설기업을 위한 M&A 지원 체계를 국토교통부 차원에서 체계적으로 구축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국토부가 온라인 플랫폼을 구축해 거래 정보 등을 투명하게 공개해야 한다는 것이다. 건산연은 중소벤처기업부의 M&A 지원사업을 벤치마킹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중기부는 M&A 지원을 위한 온라인 플랫폼을 구축하고 교육 및 홍보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등 지원 사업을 운영하고 있다.

건산연은 이 같은 지원 체계와 함께 M&A에 대한 세제 지원과 같은 인센티브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건산연은 “최근 부동산 경기 침체와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미수금 증가로 M&A 시장의 위축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며 “이러한 상황에 대응하기 위해선 세제 지원과 인센티브 제공 등 정책적 지원과 정부 차원의 종합 정책 패키지 마련이 시급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