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년 전 좌초된 코인 결제…페이코인, 스테이블코인 업고 사업 '재시동'

재테크

뉴스1,

2025년 7월 06일, 오전 07:50

지난 2021년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달콤커피 분당서현점을 찾은 한 고객이 페이코인 앱을 이용해 주문하고 있다. 2021.6.28/뉴스1 © News1 박지혜 기자

정부 규제로 좌초된 가상자산 결제 프로젝트가 다시 고개를 들고 있다. 결제기업 다날 자회사 페이프로토콜이 발행한 페이코인(PCI)이 최근 정부의 스테이블코인 정책 기조 변화에 발맞춰 국내 결제 시장에 재도전장을 내밀었다. 스테이블코인을 활용한 간접 결제 방식을 통해 가상자산 결제 사업 모델이 다시 주목받을지 관심이 쏠린다.

6일 업계에 따르면 다날은 최근 마스터카드와 연동되는 '페이코인 카드'를 출시하고 스테이블코인 결제 시장 선점을 위한 로드맵을 발표했다. 페이코인 카드는 이용자가 마스터카드 가맹점에서 결제하면 지갑에 보유 중인 페이코인이 자동으로 스테이블코인으로 전환돼 결제가 이뤄진다.

다날은 "페이코인을 보유하고 있으면 별도의 환전 없이 애플페이나 구글페이를 통해 전 세계 마스터카드 가맹점에서 스테이블코인으로 결제할 수 있다"며 "국내 도입을 위한 기술 고도화 작업도 진행 중"이라고 말했다.

과거 페이코인을 활용한 결제 사업이 좌초된 다날이 달라진 규제 환경을 고려해 스테이블코인을 활용한 간접 결제 방식을 채택한 것으로 풀이된다. 다날은 "지금은 스테이블코인으로 결제가 이뤄지지만 향후 (페이코인이) 직접 결제 자산으로 기능하는 방안도 논의 중"이라고 전했다.

다날은 지난 2019년 페이코인을 출시했다. 당시 CU와 세븐일레븐, 도미노피자 등 6만여개의 가맹점과 제휴를 맺고 페이코인 결제 시스템을 도입했다. 사실상 국내 가상자산 결제의 시초인 셈이다.

그러나 지난 2023년 페이프로토콜이 가상자산사업자(VASP) 변경 신고에 실패하며 국내 결제 사업에 제동이 걸렸다. 당시 금융위원회 금융정보분석원(FIU)은 "가상자산 지갑·보관업자로 신고한 페이프로토콜이 가상자산 매매업을 위한 변경 신고를 접수했으나, 특정금융정보법(특금법)상 신고 요건을 갖추지 못해 불수리했다"고 밝혔다.

가상자산 매매업을 영위하기 위해 필요한 은행의 실명계좌를 발급받지 못했다는 설명이다. FIU는 "가상자산과 금전 간의 직접 교환과 매개 수단을 이용한 간접 교환은 은행 실명 확인 입출금 계정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후 다날은 해외로 눈을 돌렸다. 지난 2023년에는 글로벌 결제 인프라 기업 알케미페이와 업무협약(MOU)을 맺고 베트남과 필리핀 등에서 온오프라인 결제 사업을 추진했다. 지난해에는 일본 주차장에 가상자산 결제 시스템을 도입하기 위해 현지 업체와 파트너십을 체결하기도 했다.

그러다 최근 정부가 원화 스테이블코인 발행 허용을 검토하면서 시장의 분위기가 달라지기 시작했다. 민병덕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최근 스테이블코인 발행 근거 등을 담은 디지털자산기본법을 대표 발의했다. 이재명 대통령도 지난달 대선 공약으로 원화 스테이블코인 도입을 공약으로 내세운 바 있다.

이러한 정책 기조 변화는 다날이 국내 결제 시장에 재도전하는 계기가 됐다. 다날이 최근 스테이블코인으로 자동 환전·결제되는 페이코인 카드를 출시한 배경이다.

다날은 금융당국에서 한 차례 가상자산사업자 변경 신고 불수리 처분을 받은 만큼 규제 대응 역량 강화에도 나섰다. 다날은 "제도화 대응을 위해 전사적으로 관련 인프라를 고도화하고 있다"며 "최근 대관 전담 인력을 추가 채용하는 등 입법·정책 논의에 적극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업계는 스테이블코인 제도화가 현실화하면 과거 좌초된 가상자산 결제 모델이 다시 주목받을 것으로 내다봤다.

한 가상자산 업계 관계자는 "직접적인 코인 결제는 규제 리스크가 크지만, 스테이블코인 기반 간접 결제는 제도권 안에서 충분히 논의할 수 있는 방식"이라고 말했다.

chsn12@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