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세훈 서울시장이 지난 11일 중랑구민회관에서 열린 ‘대시민 정비사업 아카데미’에서 중랑구 면목동 일대 정비사업에 대한 설명을 청취하고 있다. (사진=서울시 제공)
오 시장은 그간 공공 주도의 9·7 부동산 정책에 대해 아쉬움을 표해왔다. 오 시장은 “지금까지 경험을 돌이켜보면 공공이 주도하면 더 늦어지는 경향이 있다”며 “서울 유휴 용지를 활용해 아파트를 공급하겠다는 것 외에 서울에 관한 이야기도 많지 않았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이를 보완하기 위한 서울시 차원의 부동산 정책을 마련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내기도 했다. 노원구 백사마을을 찾아 “부동산 가격 상승을 견인하는 곳인 서울 (집값에) 큰 변화가 있는 조치가 발표된 것 같지 않다”며 “부동산 가격 상승 억제책이 될 수 있도록 준비하고 있다. 조만간 입장 발표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시는 현재까지 정비사업지 321곳, 약 24만 5000가구의 주택 공급 기반을 마련했다. 이를 위해 사업정 보정계수를 적극 적용하고 공공기여를 통해 용적률을 최대한 끌어 올려주는 등 사업성을 높여 최대한 많은 지역을 정비사업지로 선정했다.
물량을 확보한 서울시는 이제 속도전에 나서고 있다. 오 시장은 신통기획에서 주택 공급 촉진 방안과 집중적 공정관리 등을 통해 18년 6개월 가량 걸리던 재개발·재건축 사업을 총 7년을 단축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모아타운·모아주택 사업에서도 사업성 보정계수를 도입하고 조합 초기 운영비를 융자 지원하는 등 사업성과 속도를 모두 높일 예정이다.
이 같은 오 시장의 행보를 두고 내년 지방선거에서 3연임을 위한 승부수를 ‘부동산 정책’에 던졌다는 평가가 나온다. 특히 정비사업의 경우 ‘현역 시장 프리미엄’을 살릴 수 있는 좋은 수단이다. 조합원, 토지주, 상가 소유자 등 이해관계자가 다수 엮여 있기 때문에 ‘표 결집력’이 상당히 크기 때문이다. 예컨대 목동 재건축 단지 기존 가구 수는 2만 6629가구에 이르는데 이를 3인 가구 기준으로 본다면 약 8만표가 움직일 수 있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