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0일 경주예술의전당 원화홀에서 열린 ‘퓨처테크포럼 디지털자산’에서 마이클 케이시 MIT 미디어랩 디지털 화폐 이니셔티브 수석 고문이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두나무 제공.
   
 
  "현재의 글로벌 금융 시스템은 비효율적이고 비용이 많이 들며, 매우 파편화돼 있습니다. 그런데 블록체인의 개방적이고 투명한 시스템을 통해 우리는 비용을 크게 절감하기 시작했습니다."
마이클 케이시 매사추세츠공과대학(MIT) 미디어랩 디지털 화폐 이니셔티브 수석 고문은 30일 두나무가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에이펙) 최고경영자(CEO) 서밋'의 공식 부대행사로 주최한 '퓨처테크포럼'에서 스테이블코인이 금융 인프라를 변화시키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현재 글로벌 금융 시스템에는 스위프트(SWIFT), 청산소, 투자은행, 은행 각 지점 등 모든 기관이 관여돼 있고 (국경 간 결제가 일어나는) 모든 단계에서 실패 위험이 존재한다. 이들을 신뢰하는 데도 비용이 많이 든다"면서 "블록체인 기반 시스템을 채택하면 우리는 '수학적 증명'을 신뢰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글로벌 결제, 송금 등을 처리할 경우 신뢰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는 의미다.
블록체인 기반 금융 시스템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하는 게 스테이블코인이다. 케이시 고문은 "전 세계적으로 돈을 더 '빠르게' 이동시킬 수 있게 되면 경제적 영향이 얼마나 클지 생각해 보라"며 "규제 당국들도 이제 스테이블코인의 중요성을 이해하기 시작했다"고 강조했다.
또 케이시 고문은 인공지능(AI) 에이전트와 '프로그래머블(Programmable) 머니'의 결합을 미래 금융의 방향으로 제시했다.
그는 "미래엔 AI 에이전트들이 우리를 대신해 거래하게 될 것이므로 그들에게는 은행이 아닌 '프로그래머블 머니'가 필요하다"며 "궁극적으로 화폐는 소프트웨어가 돼야 한다"고 했다. 스테이블코인을 비롯한 블록체인 기반 화폐가 이 같은 프로그래머블 머니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30일 열린 ‘퓨처테크포럼 디지털자산’에서 (왼쪽부터) 윤선주 두나무 CBIO, 마이클 케이시 MIT 미디어랩 디지털 화폐 이니셔티브 수석 고문, 루 인 솔라나 재단 APAC 사업개발 총괄, 폴 블루스타인 금융 저널리스트∙‘킹달러’ 저자가 ‘스테이블코인과 국경간 혁신’을 주제로 패널 토론을 진행하고 있다. 두나무 제공.
   
 
  이어진 패널 토론에서도 스테이블코인의 미래 역할에 대한 논의가 이뤄졌다. '스테이블코인과 국경 간 혁신: 글로벌 금융과 규제의 가교'를 주제로 진행된 토론에서는 윤선주 두나무 최고브랜드임팩트책임자(CBIO)가 좌장을 맡고 △루 인 솔라나 재단 아시아태평양 사업개발 총괄 △폴 블루스타인 '킹달러' 저자 겸 금융 저널리스트 △마이클 케이시가 패널로 참여했다.
폴 블루스타인 금융 저널리스트는 "각국은 (달러 중심 시대에 맞서) 화폐 주권을 보호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고민해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현지 통화로 뒷받침되는 스테이블코인이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달러 패권이 강화되고 있는 시대에 맞서 각국 통화를 기반으로 하는 스테이블코인이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각국 통화를 기반으로 하는 스테이블코인이 나올 경우, 사용 사례를 발굴하는 게 중요하다는 주장도 언급됐다. 루 인 솔라나 재단 총괄은 "각국 통화를 기반으로 하는 스테이블코인들은 누가 구매자가 될 것인지, 지속 가능한 실사용 사례를 만들어낼 수 있을 것인지가 중요하다"며 "이는 정부도 좀 더 개입해야 할 필요가 있는 부분"이라고 했다.
아울러 패널들은 AI 에이전트 시대에는 스테이블코인이 기본 화폐가 될 수 있다는 케이시 고문의 주장에 공감했다. 또 스테이블코인 혁신이 적절한 규제 아래서 이뤄져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루 인 총괄은 "페이팔이 (솔라나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자체 스테이블코인 PYUSD를 출시했는데, 그들과 함께 자금 동결 메커니즘을 개발했다"며 규제 아래서 혁신이 일어나야 함을 강조했다.
윤선주 CBIO도 "두나무는 스테이블코인을 블록체인 기술과 실제 금융을 연결하는 핵심 고리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대한상공회의소가 주관하는 'APEC CEO 서밋 코리아 2025'는 경주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의 주요 부대행사다. APEC CEO 서밋에서 디지털자산(가상자산)을 주제로 한 별도의 부대행사가 열린 건 국내 최초다.
hyun1@news1.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