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세훈 서울시장이 30일 서울시청 브리핑룸에서 ‘2026년도 예산안’ 총 51조 5,060억 원 편성 내용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김태형 기자) 
       
 
      서울시에 따르면 현재 재개발·재건축 사업에서 용적률 완화에 따른 임대주택 의무 비율은 50%다. 예컨대 용적률 완화로 100가구가 추가로 확보된다면 50%는 임대주택으로 배정해야 한다. 이 같은 용적률 완화에 따른 공공기여 비율을 일정 부분 조정하자는 것이 오 시장의 의중이다.
오 시장은 “과거 경기가 좋을 때, 부동산 가격이 안정화됐을 때 임대주택 비율과 지금은 다를 수 있는 것이 아니겠나”라며 “시민들이 안심할 수 있게 서울시가 할 수 있는 일을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재건축·재개발 임대주택 의무비율 자체를 바꿀 것을 국토교통부에 요청하겠다고 주장했다. 그는 “법을 고치든지 국토부가 바꿔야 할 것은 요청하자고 큰 틀에서 방향을 세웠다”고 부연했다.
오 시장은 10·15 대책에 대해서는 “공급을 촉진하는 것이 아니라 집을 살 수도, 팔기도 어렵게 만들었다”며 “전세난도 그렇고 비용이 더 많이 드는 월세로 가야 하는 실존적 고민에 처할 수 밖에 없게 만들었다”고 말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공급을 촉진하고 부동산 가격을 하향안정화하는데 우선순위를 두겠다고 오 시장은 설명했다.
서울시는 공공임대주택 등 안정적 주거환경 조성을 위해 1조 7016억원을 편성했다. 구체적으로 신혼부부 매입임대 1681억원을 포함해 공공임대주택 공급 1조 622억원, 신속통합기획 추진 152억원이다. 오 시장은 “미리내집 4000호 등 공공임대 주택과 관련해 더 많은 주택 공급하기 위해 주택진흥기금도 신설했다”며 “신통기획 2.0 추진해 약속을 꼭 달성하겠다”고 설명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