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강벨트인데 실거주 의무 없다'…갭투자족, 법원경매에 우르르[르포]

재테크

이데일리,

2025년 10월 31일, 오전 05:00

[이데일리 김형환 기자] “지금처럼 규제가 심할 땐 그나마 경매가 갭투자가 가능해서 기회가 있죠.”

30일 서울남부지법 경매장에서 만난 40대 A씨는 경매 나온 물건들을 연신 살피며 이 같이 말했다. 당장 이날 입찰은 하지 않았지만 좋은 물건이 나오면 입찰할 준비를 늘 하고 온다는 게 A씨의 설명이다. 그는 “오늘 괜찮은 물건이 없는데도 사람이 붐빈다”고 말했다.

30일 오전 서울 양천구 남부지법 경매법원에서 입찰자들이 개찰을 기다리고 있다. (사진=김형환 기자)


◇신혼부부부터 노인까지…“조금이라도 싸게”

이날 오전 찾은 서울남부지법 경매장에는 좋은 물건을 낙찰 받기 위해 몰려든 이들로 가득했다. 입찰 시작 전 10여명에 불과하던 참가자들은 입찰이 시작되자 50여명으로 삽시간에 늘어났다. 신혼부부부터 자녀의 손을 잡고 온 중년 여성, 노년 부부들, 경매학원에서 단체로 나온 이들까지 한 손엔 입찰용지를 들고 물건을 차분히 살피고 있었다. 개찰이 시작될 무렵에는 앉을 자리가 없어 많은 이들이 뒤에 서 있기도 했다.

실거주 목적으로 저렴하게 내 집 마련을 위해 경매장을 찾은 신혼부부, 청년들도 쉽게 찾아볼 수 있었다. 신혼부부 김모(30)씨는 “비교적 경매가 80% 가량 저렴하니 아파트 물건을 보러 왔다”며 “원하는 장소에 원하는 물건이 저렴한 가격에 나와 이렇게 입찰까지 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경매가 처음이라는 20대 여성 B씨는 “유튜브나 블로그를 보고 정보를 얻어 이렇게 찾아왔다”며 “당장 실거주는 아니더라도 빨리 전세를 끼고라도 집을 사야겠다는 조바심이 들었다”고 웃음을 보였다.

정부의 지난 10·15 부동산 대책으로 서울 전 지역이 규제지역(투기과열지구·조정대상지역) 및 토지거래허가구역(토허구역)으로 묶이며 실거주 의무가 생겨 갭투자가 원천적으로 막혔다. 다만 경매의 경우 토허구역 대상이 아니라 경락잔금대출을 받지 않는다면 실거주 의무가 없어 갭투자가 가능하다.

갭투자 등 투자를 목적으로 경매를 공부하고 있는 이들도 있었다. 이모(58)씨는 “지금 현금이 부족한 상황에서 부동산 투자를 하려면 결국 경매가 답”이라며 “무주택자인 자녀 명의로 아파트나 입지가 좋은 다세대, 오피스텔에 대해 입찰할 계획이다. 부동산 경기가 좋지도 않은데 이렇게 사람이 많다”이라고 설명했다. 경매학원에서 나온 강사와 함께 매물을 공부하는 이들도 쉽게 살펴볼 수 있었다.

30일 오전 경매가 이뤄지고 있는 서울 양천구 남부지법. (사진=김형환 기자)


◇주요 지역 낙찰가율↑…경매로 신고가 기록도

실제로 이 같은 분위기는 경매와 관련한 데이터에서도 느낄 수 있다. 지지옥션에 따르면 지난 20일부터 29일까지 서울 지역에서 거래된 경매 95건의 낙찰가율(감정가 대비 낙찰가)은 101.6%로 지난달 99.6% 대비 소폭 상승했다. 응찰자 수는 지난달 7.87명에서 동기간 8.6명으로 올랐다. 다만 낙찰율은 36.8%로 전월(53.2%)에 비해 크게 떨어졌는데 이는 부동산 규제로 인해 시장이 얼어붙은 영향으로 보인다.

특히 강남 3구·한강벨트 등 주요 지역의 낙찰가율은 크게 높아지고 있다. 서울 서초구 ‘반포르엘’ 전용면적 84㎡은 감정가 44억 1000만원보다 1억원이 높은 45억 1915만원에, 영등포구 ‘신길우성 4차’ 전용 75㎡는 감정가 8억 5500만원보다 1억원 이상 높은 9억 6300만원에 낙찰됐다. 용산구 ‘현대한강’ 전용 59㎡는 감정가 17억 3000만원보다 2억 4011만원 비싼 19억 7011만원을 기록하기도 했다.

경매 낙찰로 신고가를 기록하는 경우도 있었다. 성남 분당 ‘판교봇들마을 3단지’ 전용 84㎡는 감정가 18억 5999만 9999원에 낙찰됐다. 기존 신고가가 17억 5000만원인 점을 고려할 때 1억원 이상이 오른 것이다.

전문가들은 당분간 이 같은 흐름이 이어질 것이라고 예측했다. 이주현 지지옥션 선임연구원은 “10·15 대책 이후 (서울 아파트) 거래량 자체는 줄었지만 호가는 떨어지고 있지 않은 상황”이라며 “이 같은 시장 호가는 경매 시장에서 지표가 되기 때문에 호가가 높은 수준이라면 경매 낙찰가율은 한동안 계속 올라갈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추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