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한 무주~대구 고속도로 신설사업과 서평택~평택 고속도로 확장사업은 예타 대상사업으로 신규 선정됐다.
 
 
       
         김해-밀양 고속도로 신설 사업개요 및 위치도. (사진=국토교통부) 
       
 
      앞서 이 사업은 지난 2017년 제1차 고속도로 건설계획에 중점 추진사업으로 반영됐으나, 당시 동남권 신공항 및 부산항 진해신항 계획이 미반영되며 경제성이 부족하다는 판단으로 예타가 철회된 바 있다. 이후 제2차 국가도로망 종합계획과 2022년 제2차 고속도로 건설계획에 재반영돼 2024년 6월 예타에 착수, 이번에 통과됐다.
김해·밀양 지역은 국도 중심 교통체계로 물류 연결성이 낮고 이동시간이 길어 산업단지 간 교류에 제약이 있었다. 신설노선이 개통되면 경남 내륙 산업벨트의 접근성과 효율이 크게 개선될 전망이다. 특히 부산신항과 가덕도신공항을 연결하는 국가 물류망이 완성돼 물류수송의 신속성과 신뢰성이 강화할 전망이다.
 
 
       
         서대전~회덕 고속도로 확장 사업개요 및 위치도. (사진=국토교통부) 
       
 
      이 구간은 경부·호남·통영대전·서산영덕선이 합류·분기되는 교통 요충지로, 상습 정체 구간이 다수 존재하며 서비스수준(LOS)이 E 등급에 해당한다. 현재 갓길차로제를 임시 운영 중이지만, 안전과 소통 측면에서 구조적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있었다. 화물차 비중도 약 29%로 전국 평균(25.6%)을 웃돌아 정체와 급정거 위험이 크다.
확장사업 완료 시 지정체 해소(LOS E→C~D)가 가능해지고, 세종 행정수도 및 대전·세종 국가산단 개발로 증가하는 교통수요에 대응할 수 있다. 국토부는 이 노선이 “대전·세종 간 통근과 경제·문화 활동의 핵심 연결축으로, 충청권 메가시티 기반 구축의 핵심 교통망으로 기능할 것”이라고 밝혔다.
 
 
       
         무주-대구 고속도로 신설 사업개요 및 위치도. (사진=국토교통부) 
       
 
       
 
       
         서평택-평택 고속도로 확장 사업개요 및 위치도. (사진=국토교통부) 
       
 
      특히 충남·경기도가 추진 중인 ‘베이밸리 메가시티’의 순환축과 연계돼 항만·산단·배후도시 간 물류 효율성을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국토부 관계자는 “금번 예타 통과 및 선정 사업을 통해 영호남 간 간선교통축을 보완하여 동서간 광역 생활·경제권의 연계가 강화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수도권 및 지방 대도시권 고속도로의 교통정체 구간을 해소하고, 지역 산업과 물류 거점 간 연계 수송체계 개선을 통해 지역별 특화 산업의 성장기반 강화와 균형발전 촉진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