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폐물 포장 쉽게···원자력연 개발 '포장재' 사용 승인

IT/과학

이데일리,

2025년 4월 03일, 오전 10:18

[이데일리 강민구 기자] 한국원자력연구원이 입자성 방사성폐기물이 외부 환경으로 확산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비분산 포장재인 ‘소프트백’을 개발하고, 한국원자력환경공단으로부터 국내 최초 사용 승인을 받았다. 개발된 기술은 오르비텍(046120)에 이전됐다.

입자성 방사성폐기물은 방사성 오염 물질이 포함된 미세한 폐기물이다. 직경 0.01밀리미터(mm) 이하 입자가 1% 이상이거나 직경 0.2mm 이하 입자가 15% 이상 포함된 폐기물을 뜻한다.

한국원자력연구원이 국내 최초로 비분산 포장재 사용 승인을 받았다.(사진=한국원자력연구원)
입자성 방사성폐기물은 확산 위험이 있어 반드시 분산되지 않게 처리해야 하지만 아직 전용 포장재가 없어 체 분리 공정을 거쳐 체를 통과하지 못한 일정 크기 이상의 폐기물만 포장해 영구 처분할 수 있다.

체를 통과한 미세 입자는 시멘트 등을 이용해 고정화 과정을 추가로 거쳐야 한다. 이 과정에서 폐기물 부피가 증가해 처분 비용이 약 2배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원자력연은 낙하·침수 시험 등 사용 승인 조건인 인수기준을 모두 충족한 새로운 소프트백을 개발했다.

그 결과, 350kg 이상의 폐기물을 넣고 1.2m 높이에서 자유 낙하해 내용물 유실이나 손상 여부를 평가하는 낙하 충격 시험과 1m 깊이에서 30분간 물에 담궈 침수 여부를 확인하는 물 침투 시험을 통과했다.
연구팀은 소프트백의 강도와 내구성을 강화하기 위해 부식에 강하고 화학물질과 잘 반응하지 않는 폴리프로필렌 원단도 사용했다. 또 고강력사를 활용한 특수 봉제 방식도 적용하고, 규격은 200리터 드럼 크기에 맞춰 제작해 기존 처분 방식과 호환성을 높였다.

개발한 소프트백을 적용하면 기존 방식과 달리 체 분리와 고정화 공정이 필요없다. 소프트백에 포장해 처분용 드럼에 넣어 처분하면 된다. 입자성 방사성폐기물을 바로 포장해 영구 처분할 수 있어 처리 소요 시간이 90% 이상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연구팀은 다음달부터 이 소프트백을 활용해 원전 해체 시 발생하는 방사성 오염 토양 포장 작업을 진행할 계획이다. 1000드럼당 80억원 이상의 비용 절감 효과가 기대된다.

앞으로 소프트백 적용 대상을 확대하기 위해 방사성폐기물 발생 기관, 규제기관, 처분 사업자와 협력도 지속할 계획이다.

박성빈 방사성폐기물통합관리단장은 “이번 연구 결과를 방사성 폐콘크리트에까지 확대 적용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하고, 원전 해체폐기물 처리를 위한 현장 기술 확보에 기여하겠다”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