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데일리 문승용 기자]
실적 호조의 배경에는 AI가 있었다. AI서치플랫폼에서는 AI를 활용한 지면 최적화를 통해 상품간 경계를 허물고, 전체 광고 효율과 매출을 동시에 끌어올렸다. 커머스 부문 역시 AI 기반의 네이버플러스 스토어 출시, 지면 최적화, 추천 광고 고도화 등의 영향으로 광고 매출이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네이버는 향후 AI 기술을 활용해 서비스와 광고 역량을 고도화하고 수익화에 본격 나선다는 계획이다. 최수연 대표는 “연내 통합 검색과 앱 서비스를 AI 기반으로 전면 개편해 검색, 쇼핑, 플레이스 등 주력 서비스를 강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카카오의 AI 서비스 ‘카나나’ 대화 속에서 그룹메이트 ‘카나’가 맥락을 파악하고 맛집을 추천 하고 있다.
‘카나나’는 개인 대화뿐 아니라 그룹 채팅에서도 작동하며, 맥락을 실시간으로 파악해 사용자 간 관계 형성을 유도한다. 정신아 카카오 대표는 “대화 속 상호작용을 기반으로 새로운 사업 기회를 도출할 수 있는 서비스”라고 설명했다.
실제로 카나나는 대화 내용을 분석해 식당을 추천하는 등 실시간 상호작용 기반 비즈니스 모델을 실험 중이다. 카카오는 ‘AI 메이트 쇼핑’, ‘AI 메이트 로컬’, 문맥 기반 생성형 검색 등도 올해 안에 순차 출시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다양한 AI 기반 서비스를 수익 모델로 연결하겠다는 전략이다.
카카오는 AI를 성장 동력으로 삼고, 비핵심 사업은 과감히 정리하며 조직 효율화에 나섰다. 카카오 계열사는 1년 새 128개에서 104개로 줄었다.
시장에서는 양사의 AI 기반 수익화 가능성을 긍정적으로 보고 있다. 이준호 하나증권 연구원은 “카나나의 시범 테스트를 비롯해 AI 생성형 검색 등에서 초기 성과가 확인된다면 실적 반등도 기대할 수 있다”고 평가했다. 정호윤 한국투자증권 연구원도 “AI 관련 서비스 성과가 가시화되면 하반기와 내년 변화된 모습이 나타날 것”이라며 투자 매력도를 높게 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