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8조 규모 中 게임 시장…K-게임, 다시금 대륙 품을까

IT/과학

뉴스1,

2025년 7월 01일, 오전 06:20

© News1 양혜림 디자이너

국내 게임 업계의 대륙 시장 공략 기대감이 고조되고 있다. 최근 엔씨소프트(036570) '리니지M' 등 한국 게임이 판호(版號)를 획득한 영향이다.

다만 중국 정부 외교 정책에 따른 변동성과 막강해진 중국 게임사와의 경쟁, 지식재산권(IP) 보호의 불확실성 등 넘어야 할 산이 여전히 많다는 분석도 나온다.

K-게임 최대 수출국 중국, 판호 개방 기조 이어갈까
1일 게임업계에 따르면 중국 국가신문출판서(NPPA)는 지난달 24일 엔씨소프트 '리니지M'과 스마일게이트 '크로스파이어' 시리즈, 빅게임스튜디오의 '블랙클로버 모바일'에 판호를 발급했다.

이로써 2025년에 판호를 획득한 한국 게임은 총 8개로 늘었다. 올해 1월과 3월에는 쿡앱스와 그라비티가, 5월에는 네오위즈와 그라비티가 판호를 발급받았다.

문화체육관광부에 따르면 2023년 기준 국내 게임사 최대 수출국은 중국(25.5%)이다. 수출 게임 4개 중 1개는 중국으로 향하는 격으로, 이는 동남아시아(19.2%), 북미(13.6%), 일본(13.6%) 등을 크게 웃도는 규모다.

또한 중국 게임 시장은 지난해 약 1236억 달러(한화 약 168조 원) 매출을 올리며 미국(1281억 달러)에 이어 전 세계 2위를 차지했다.

중국 시장의 '입장권'과 같은 판호는 중국 정부의 외교·국방 정책에 따라 민감하게 변동한다. 2016년 우리 정부가 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THAAD·사드)를 도입하자 중국 정부는 한한령(限韓令)을 발동했다.

그 영향으로 2017년 초부터 한국 게임 판호 발급은 사실상 중단됐다.컴투스(078340)가 2020년 말 판호를 획득하기 전까지 한국 게임은 약 4년간 중국에 진출하지 못했다.

업계는 향후 판호 발급이 무리 없이 이어질 것으로 기대하는 분위기다. 이재명 대통령이 취임 전후로 대중 관계에서 실리주의 외교 노선을 택하겠다고 밝혔기 때문이다. 이 대통령은 취임 직후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통화하며 경제, 안보, 문화 등 전 영역에서의 교류를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한 업계 관계자는 "아직 정부가 출범한 지 얼마 되지 않아 외교 노선이 뚜렷하게 정해지지는 않았지만, 지난 몇 년의 동향을 보면 앞으로도 판호 발급이 전면 차단되는 일은 없을 것 같다"고 내다봤다.

중국 게임사 '게임사이언스'가 출시한 '검은신화:오공'(스팀 갈무리)

막강해진 현지 경쟁, 불확실한 IP 보호…녹록지 않은 중국 시장
다만 판호를 얻었다고 해서 성공으로 바로 이어지는 건 아니다. 더욱 치열해진 중국 게임사와의 경쟁이 기다리고 있기 때문이다.

중국 게임사는 자국 시장 이해도를 바탕으로 현지 이용자 취향에 맞는 게임을 발 빠르게 개발하고 있다. 또한 막대한 개발비와 마케팅 비용을 투입해 시장 점유율을 높이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기술력과 게임 완성도 면에서도 세계적 수준에 도달한 게임이 여럿 등장하고 있다.

대표적 예시가 중국 게임사 게임 사이언스(Game Science)가 개발한 검은신화:오공이다. 중국 신화 서유기에 기반한 이 게임은 빼어난 그래픽과 독창적인 게임성으로 전 세계 팬층에 깊은 인상을 남겼다. 게임은 출시 사흘 만에 1000만 장 넘게 팔리며 인기를 입증했다.

중국으로 게임을 수출한 게임사 관계자는 "(중국 시장에) 진출했을 때 예전처럼 100% 성공이 보장되는 건 아니고 현재는 난도가 많이 올라갔다"며 "중국 게임사들이 경쟁력도 갖춘 만큼 성공을 담보할 수는 없지만, 굉장히 중요한 시장인 만큼 가능하다면 꼭 진출해야 하는 시장"이라고 말했다.

시장의 폐쇄성과 불확실성 또한 불안 요소로 꼽힌다. 위메이드는 올해 4월 설명회를 열고 중국 게임사들이 자사의 핵심 IP인 '미르의 전설2' 로열티를 편취했다고 주장했다.

위메이드 관계자는 "국제 중재 및 법원 판결에도 불구하고 배상금 회수가 난항을 겪고 있다"며 "일부 중국 기업들은 지분 매각 및 수익 유출 등 편법으로 집행을 지연시키고 있어 법적 조치만으로는 권리 확보가 어려운 실정"이라고 설명했다.

위메이드 본사/뉴스1


minjae@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