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IBM 기업가치연구소 사이버시큐리티 2028 보고서 표지(IBM 제공)
IBM이 사이버 보안 패러다임이 2028년까지 인공지능(AI) 중심으로 본격 전환될 것이라고 1일 밝혔다.
IBM 기업가치연구소(IBV)는 '사이버시큐리티 2028' 보고서를 통해 AI 기술이 기업 보안 운영의 핵심으로 자리 잡으면서 향후 3년 보안 전략의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보고서는 전 세계 17개국 보안·기술 임원 1000여 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로 작성됐다.
응답자들은 향후 3년간 생성형 AI 기반 보안 기능 활용도가 63% 확대할 것으로 내다봤다. 응답자 64%는 2년 내 모든 IT·정보보호 조직 내 직원이 AI 에이전트를 일상 업무에 활용하게 될 것이라고 답했다.
IBM은 보안 전환의 진척도를 '크롤(Crawl)–워크(Walk)–런(Run)' 3단계로 구분했다.
보고서는 "현재 약 30% 기업이 런 단계에 도달해 AI 기반 자율 보안 운영을 실현하고 있다"며 "실시간 위협 탐지, 자동 정책 조정, 스스로 대응 조치 수행 등 보안 역량을 갖추고 있다"고 전했다.
이어 "AI 중심 보안 체계를 구현하려면 기존 보안 조직의 운영 모델 전면 재설계와 기술 인프라·인력 전략의 유기적 통합이 필수적"이라며 "다만많은 기업이 조직과 인력을 준비하지 못해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언급했다.
IBM은 한국 기업과 협력 사례로 자동차 열에너지 관리 설루션 기업 한온시스템을 꼽았다.
한온시스템은 IBM과 손잡고 24시간 실시간 보안 모니터링, 엔드포인트 탐지·대응(EDR) 설루션, 통합 계정·접근 관리(IAM) 시스템을 도입했다.
이재웅 한국IBM 컨설팅 사이버보안서비스 사업총괄상무는 "IBM의 글로벌 엑스포스 위협 탐지·대응 서비스(TDR) 체계를 기반으로 위협 탐지 및 대응의 자동화, 보안 운영의 효율성과 민첩성을 강화할 계획"이라고 했다.
ideaed@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