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뉴스1
이공계 대학원 석사 과정생에 월 80만 원, 박사 과정생에 110만 원 생활비를 보장하는 '이공계 연구생활장려금'이 지급되기 시작했다. 올해 약 5만 명의 이공계 대학원생이 최소생활을 보장받게 될 것으로 보인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한국연구재단과 함께 추진 중인 이공계 연구생활장려금 지원 사업의 상반기 참여대학이 지난달 말부터 지급에 들어갔다고 1일 밝혔다.
올해 새롭게 추진 중인 사업(2025~2033년, 9790억 원 사업비)은 이공계 대학원생이 경제적 부담 없이 연구에 몰입할 수 있도록 최소 생활을 보장해 주는 게 취지다. 올해 예산은 총 600억 원이다.
정부는 참여 대학이 산학협력단 차원에서 학생 인건비 종합 지급·관리체계를 구축하도록 했다. 월별 지급의 안정성 강화, 전반적 지급 수준 개선 등 학생연구자의 처우 관리를 고도화하기 위해서다.
과기정통부는 올해 상반기 약 두 달간의 공모·평가를 거쳐 사업 참여대학 29개교를 확정했다. 또 참여 계획서·운영규정 등 대학별 세부 운영계획 컨설팅을 통해 현장안착 지원을 이어나가고 있다.
현재까지 컨설팅이 완료된 대학은 14개교다. 연세대·부산대 등 학내 정비가 완료된 대학은 6월 말부터 장려금 지급을 개시했다. 조속한 시일 내 전체 29개 참여대학이 장려금을 지급할 수 있도록 추진한다는 게 과기정통부의 방침이다.
또 과기정통부는 하반기 신규 참여대학도 이날부터 이달 21일까지 공모를 받는다.
상반기 공모와 마찬가지로 신청대학 평가는 요건검토-선정평가 2단계로 진행된다. 참여대학 확정 후 세부 운영계획 컨설팅을 거쳐 장려금을 지급할 계획이다. 자세한 내용은 한국연구재단 홈페이지를 참고하면 된다.
한편 과기정통부는 참여 대학의 원활한 사업운영을 지원하기 위해 제도개선 과제 발굴도 추진한다.
특히 현재는 대학별, 재원별로 학생 인건비 지급·관리 방식과 절차 등이 상이하다는 게 문제다. 학생연구자부터 교수, 대학(산단) 실무자까지 보다 편리하게 학생인건비를 지급·관리할 수 있도록 표준모델 등을 모색한다는 방침이다.
이 밖에도 과기정통부는 장려금 지급·관리 관련 대학 산단의 혼선을 방지하기 위해 현장소통도 적극 추진하고 있다. 참여대학 의견 수렴을 거쳐 사업 운영 가이드라인을 마련했으며, 설명회 개최·질문집(FAQ) 배포 등도 병행했다.
홍순정 미래인재정책국장은 "이공계 연구생활장려금 지원 사업의 핵심은 과제별·사업별로 파편화된 학생연구자 지원구조를 대학 단위에서 통합 관리하는 것"이라며 "연구실별 위기 상황에 정부·대학이 함께 대비하는 만큼, 대학 현장에 보다 도전적인 연구문화가 확산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legomaster@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