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임문영 전 겨기도 미래성장정책관. 사진=본인 페이스북
광주 출신인 임 전 정책관은 연세대 정치외교학과와 언론홍보대학원, 호서대 기술경영전문대학원을 졸업했다. 나우콤과 IMBC 센터장, 미디어전략 컨설턴트를 거쳐 국회 Editor-in-Chief를 맡았으며, 경기도청 정보화정책관·미래성장정책관으로서 AI·빅데이터·블록체인 등 4차 산업혁명 정책을 총괄했다.
대선 당시 더불어민주당 선대위 디지털특별위원회 위원장으로서 제이슨 권 오픈AI 최고전략책임자(CSO)와 비공개 회동을 통해 100조 원 규모 ‘AI 국부펀드’와 AI 인프라 전략을 제시했고, 오픈AI는 서울 지사 설립과 데이터센터 구축 등 협력안을 밝혔다. 여권은 임 전 정책관을 국내외 AI 전략과 글로벌 네트워크를 두루 갖춘, 국가AI위원회 위상 강화와 민간 협력 확대에 적합한 인물로 평가하고 있다.

임문영 더불어민주당 선거대책위원회 디지털특별위원회 위원장(왼쪽 첫번째)과 채보건 정책본부 전략기획 담당이 5월 26일 오전 제이슨 권 오픈AI 최고전략책임자(CSO·오른쪽 두번째), 올리버 제이 국제비즈니스 총괄과 만나 인공지능 관련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사진=최연두 기자)
개편안은 국가 AI 비전·중장기 전략, 부처 간 정책·사업 조율, AI 데이터 구축·활용, 정책 이행 점검 등 심의·의결 범위를 확대하며, 방송통신위원회와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는 조율 대상에서 제외됐다.
정부는 이달 중 국무회의 의결을 목표로 위원회를 민간 전문가 중심으로 재편해, AI 모델·서비스 개발·반도체 등 산업 현장 경험이 풍부한 인사의 참여를 늘릴 계획이다.
아울러 과기정통부는 인공지능기반정책국을 ‘실’로 승격하고 데이터진흥과를 ‘국’으로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해 AI 정책 집행력과 국가AI위원회 지원 기능을 강화할 계획이다. 국정기획위원회가 오는 13일쯤 활동을 마무리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정부조직 개편 과정에서 과기정통부가 부총리급으로 승격될 경우 인공지능정책실이 신설될 가능성이 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