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블랙홀 자기장 변화 영상.(사진=우주항공청)
한국천문연구원, 경희대, UNIST 등을 중심으로 한 한국 연구진은 2017, 2018, 2021년 자료를 비교 분석해 M87 블랙홀의 시간에 따른 변화를 살폈다.
한국 연구진은 블랙홀 주변 자기장 모습의 변화를 분석하는 과정에서 직접 개발한 소프트웨어를 활용해 EHT팀에 기여했다. 그 결과, 블랙홀 그림자(중심 검은 부분)와 그 주변 빛의 고리 크기는 일정했으나, 빛의 고리 방향, 즉 블랙홀 주변 자기장의 나선형 모양이 연도별로 변하는 것을 확인했다.
2021년에는 자기장의 회전 방향이 2017년과 반대로 나타났다. 이러한 자기장 변화는 빛을 방출하는 영역의 내부 자기장 구조와 주변 물질에 의한 영향이 복합 작용한 결과로 해석된다. 블랙홀 부근의 물질이 역동적으로 움직이고 있음을 보여준다.
EHT는 2017년을 시작으로 2018년, 2021년, 2022년, 2024년, 2025년에 M87을 관측하며 새로운 연구 성과를 발표하고 있다. 내년에는 블랙홀의 단기간 변화를 관측해 동영상화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천문연이 운영하는 한국우주전파관측망(KVN이 참여할 계획이다.
강경인 우주청 우주과학탐사부문장은 “블랙홀이라는 우주의 극한 환경을 이해하는 데 한 걸음 더 다가선 결과”라며 “앞으로도 우주 관측연구를 통해 인류의 지식 지평을 넓히고, 대한민국이 우주과학을 선도하도록 지원하겠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