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영상 SKT 대표(왼쪽)와 김영섭 KT 대표가 21일 서울 여의도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에서 열린 정보통신산업진흥원 등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대화하고 있다. 2025.10.21/뉴스1 © News1 신웅수 기자
유심 해킹부터 무단 소액결제까지 연이은 해킹 사태에 통신 3사 대표가 국감장으로 소환됐다.
사실상 KT(030200) 청문회처럼 진행된 국정감사에서 여야 의원은 김영섭 KT 대표를 향한 질타를 쏟아냈다. 유영상SK텔레콤(017670) 대표도 위약금 손실을 부풀렸다는 지적을 받았고, 홍범식 LG유플러스(032640) 대표에게는 해킹 정황을 알고도 축소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통신 3사 대표는 21일 오후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국정감사에 증인으로 출석했다. 국회는 통신사의 보안 관리 실태를 집중 추궁했다.
김영섭 KT 대표 "사퇴 포함 책임지겠다"…위약금 면제 진행
이날 김영섭 KT 대표는 '소액결제 사태'를 놓고 자신을 향한 사퇴 요구에 "사고 수습 후 합당한 책임을 마땅히 지는 게 맞다"고 밝혔다.
여당 의원들은 KT가 정부 조사 방해 의혹으로 경찰 입건 전 조사(내사)를 받고 있는 점을 들어 김 대표의 책임론을 부각했다.
김 대표는 사퇴 요구가 여러 차례 반복되자 "책임의 범위에는 사퇴도 포함된다"며우선 고객 보상안 마련 등 수습에 나선 뒤 자신의 거취를 결정하겠다는 입장을 내비쳤다.
사건 은폐 및 축소 의혹에는"처음부터 축소나 은폐를 생각했던 것이 아니다"며 "일이 점점 커져 전체를 분석하다 보니 늦어졌다"고 해명했다.
아울러 이날 관심이 쏠린 위약금 면제 여부에는 관련 절차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대상은 개인정보 유출 정황이 있는 고객 2만 2227명이다.면제 기간은 오는 11월 30일까지다.면제 범위는 휴대전화 공시지원금, 추가지원금, 선택약정 할인 관련 위약금이다. SK텔레콤과 마찬가지로 유·무선 결합 상품은 위약금 면제 대상에서 제외된다.
전체 고객 대상 위약금 면제와 관련해선 말을 아꼈다. 이날 김 대표는"(민관합동조사단) 조사 결과와 피해 내용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결정해야 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또 "KT 전체 고객 대상으로 유심 교체까지는 적극 검토해서 시행하겠다"고 덧붙였다.

김영섭 KT 대표(왼쪽부터), 유영상 SK텔레콤 대표, 홍범식 LG유플러스 대표가 21일 서울 여의도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에서 열린 정보통신산업진흥원 등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의원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2025.10.21/뉴스1 © News1 신웅수 기자
SKT "위약금 7조 발언 죄송"…LGU+ "해킹 정황 당국 신고"
유영상 SK텔레콤 대표는위약금 면제로 인한 손실 규모를 부풀려 말했다는 지적을 받자 "혼선을 드려 죄송하다"고 사과했다.
유 대표는 지난 5월 국회 과방위 청문회에서 "(가입자 이탈이) 최대 500만 명까지도 가능하다고 생각한다"며 "위약금뿐 아니라 3년 치 매출까지 고려하면 7조 원 이상 손실도 예상한다"고 언급한 바 있다.
홍범식 LG유플러스 대표는해킹 정황이 있음에도 이를 축소하려 했다는 의혹이 일자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에 신고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와 관련해 LG유플러스 측은 "당사는 국정감사에서 KISA에 신고하겠다고 답변했다"며 "이는 현재까지 조사에서는 침해 사실이 발견되지 않았지만, 국민적 염려와 오해를 해소하는 차원에서 국회와 과기부의 절차에 따라 적극적으로 대응하겠다는 의미"라고 공식 입장을 냈다.
앞서 지난 8월 글로벌 해킹 권위지 '프랙 매거진'은 LG유플러스의 8938대의 서버 정보와 4만2526개의 계정 및 167명의 직원 정보가 유출됐다고 발표한 바 있다. 이와 관련해 KISA는 지난 7월 해킹 정황을 확인하고 LG유플러스에 침해 사고 신고를 권유했지만 회사 측은 "침해 정황이 없다"며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다만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권유에 따라 현장 조사를 진행 중이다.
아울러 LG유플러스는 보고 하루 전인 8월 12일 해킹 의혹이 제기된 '계정 권한 관리 시스템' 서버의 운영체계를 재설치한 것으로 확인돼 서버 폐기 논란이 일었다.
Ktiger@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