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자 생계 지원하고 리더 연구자에 1억 지급…인재육성 '마중물'

IT/과학

뉴스1,

2025년 11월 07일, 오후 02:35

(과기정통부 제공)

정부가 연 1억 원의 연구지원금을 주는 '국가 과학자' 제도를 신설한다. 세계적 수준의 연구 업적을 가진 리더급 과학자·공학자를 5년간 약 100명 지원한다.

대학원생 장학금 수혜율도 기존 1.3%에서 2030년까지 10%로 높인다.

7일 이재명 대통령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등 관계 부처는 대전 국립중앙과학관에서 국민보고회를 갖고 인재 및 연구개발(R&D) 혁신방안을 발표했다.

국가과학자의 경우 내년부터 매년 20명 내외로 지원할 예정이다.

다만 기존 국회로 제출된 내년도 정부 예산안에는 내용이 담기지 못했다. 국회와의 논의를 거쳐, 이달 예산결산특별위원회에서 추가 반영할 예정이라고 과기정통부는 설명했다.

아울러 이공계 인재 대상 AI 교육을 확대한다. 지난해 노벨화학상 사례처럼, 과학기술에 AI를 접목해 혁신을 유도한다. '대학 과학AI 연구센터', 'AI-X 국가대표 양성사업단' 등이 추진된다.

또 지역 AI 인재 양성을 위해 과학영재학교를 확대하고, 전국 4대 과학기술원과의 연계도 강화한다. 과학기술원은 지역 AI혁신 허브를 담당하며, 지역산업 성장을 지원한다.

이공계 인재 유출 관련해서는, 2030년까지 해외 우수·신진 연구자 2000여명을 유치한다. 목표치 70%는 해외로 나간 한인 과학자들로 채운다. AI·양자·첨단 바이오 등 전략분야 중심으로 들여온다.

국내 석학의 해외 유출 문제도 해결해야 한다. 이에 △정년후 연구지원사업 △기업 고경력연구원 공공연구기관 채용 △출연연 우수연구원 정년 연장 및 재고용 등을 내년부터 추진한다.

이공계 대학원생에게 일정 생활비를 보장하는 '이공계 연구생활 장려금(한국형 스타이펜드)'도 참여대학을 늘린다. 기존 학생 인건비에 지원금을 보태 석사과정생 월 80만 원, 박사 과정 월 110만 원을 맞춰주는 것이다. 올해는 35개교가 참여하지만, 내년 55개교로 늘어날 예정이다.

청년·신진 연구자 일자리의 경우 대학 교원, 출연연 채용 등 공공 위주로 우선 늘린다. 기술창업 지원 등 대안도 마련하겠다고 덧붙였다.

한편 연구비 관리체계는 기존 규제 중심에서 연구자 자율·책임 중심으로 전환한다. 인건비, 장비·재료비, 과제추진비 등 직접비의 10%는 자율 사용이 가능해진다. 지원경비 성격의 간접비도 네거티브 규제로 제약을 줄인다.

도전적 임무 전용 정부사업 트랙도 신설한다. 범부처 차원에서 전략기술을 육성하는 'NEXT 프로젝트'다.

R&D 평가시스템 역시 형식적 평가는 폐지하고, 혁신성 중심으로 과제를 선정한다. 평가의 책임성·전문성을 보완하고자 평가위원 실명제, 평가수당 상향 등을 추진한다. 우수 평가위원 풀 6000명을 확보하겠다는 목표다.

legomaster@news1.kr

추천 뉴스